종교유적·문화재 썸네일형 리스트형 천안 광덕사 천안 광덕사 소재지 / 충남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사길 30 지번주소 /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리 640 전 화 / 041-567-0050 천안 하면 언뜻 떠 오르는것은 호두과자다, 그 중에도 '학화호두과자', 학화호두과자는 1933년 당시 최고의 제과 기술자였던 심복순 할머니의 부군인 고 조귀금 할.. 더보기 마곡사 마곡사 마곡사 / 麻谷寺 위 치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지번주소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태화산(泰華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자장이 창건한 것으로 전하는 천년고찰. 마곡사 주변은 이중환의 "택리지" 에 "십승지" 중의 한곳으.. 더보기 서산 여미리 석불입상과 보호수 서산 여미리 석불입상과 보호수 소재지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충남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유기방 가옥 입구에는 수령 300년쯤된 수형이 아름다운 보호수 소나무와 고려시대의 석불입상이 있다, 석불 입상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32호로 높이 310㎝ 정도이다, 석불은 1970년대.. 더보기 연산군묘와 은행나무 연산군묘와 은행나무 연산군묘(燕山君墓) 와 은행나무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과 부인 신씨(愼氏)의 묘소 국가지정문화재 / 사적 제362호. 지정면적 1만4301㎡. 실록대하소설 조선왕조 500년 이란 제목의 책이 신봉승 지음, 금성출판사에서 2015년 간행된적이 있다, 연산군에 대한 이미지는 먼저 폭군, 포악한 군왕 이라는 점이다, 연산군묘는 우이동 도선사 입구를 지나 종점에서 방학동으로 가는 고개를 넘어 우측편 아파트와 주택이 혼재 되어있는곳 공원옆에 있다, 연산곤묘 바로 아래편에는 보호수로 지정된 수령 830년된 년로한 은행나무 한그루가 받침대의 부축을 온몸으로 받으며 힘겹게 서있다, 연산군은 실정(失政)이 극심하여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되고 1506년(중종 .. 더보기 예천 장안사 예천 장안사 소재지 / 경북 예천군 용궁면 회룡대길 168 지번 / 예천군 용궁면 향석리 산 54-1 천상의 정기 서린 곳에 비룡(飛龍)이 꿈틀거리는 곳, 장안사 회룡포 전망대 올라가는 산언덕에 있는 작고 아담한 절,, 천년 신라에 학이 춤을 추듯 뭇 봉우리들이 힘차게 굽이치고, 구름을 담아 놓.. 더보기 정릉 신덕왕후 기신제 제 623 주기 정릉 신덕왕후 강씨 기신제 1, 일 시 / 2019, 9, 23, (월) 정오 2, 장 소 / 서울 성북구 정릉, 3, 주 관 /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4, 주 최 / 문화재청 5, 섭행단체 / 전주이씨 광평대군파종회 정릉봉향회 세계유산 조선왕릉 정릉 / 貞陵 국가지정문화재 / 사적 제208호 조선 제1대 태조의 .. 더보기 신원사 신원사 계룡산 신원사 新元寺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8 신원사는 충남 계룡산 자락 갑사와 가까운 거리에서 마주하고 있는 풍광이 수려하고 유서깊은 사찰이다, 계룡산은 지기(地氣)가 많은 바위산으로 예로부터 많은 도인들이 은거하며 도를 닦았던 한국의 명산중 명산이다, 신원.. 더보기 논산 명재고택 / 노성향교 논산 명재고택 노성향교 논산명재고택 소재지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노성산성길 50 논산 명재 윤증고택(論山 明齋 尹拯 古宅) 1984,12, 24,대한민국 국가민속문화재 제190호로 지정 되었다가 2007, 1, 29, "논산명재고택" 으로 문화재 지정 명칭이 변경 되었다, 명재고택 주변의 배롱나무꽃이.. 더보기 파평윤씨 종학당 파평윤씨 종학당 논산 종학당 (論山 宗學堂)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소재지 / 충남 논산시 노성면 종학길 39-6 (지번) 충남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 95 국내최초 사학 파평윤씨 노종파 종학원, 배롱나무꽃이 아름다운 곳으로 논산의 파평윤씨 종택 종학당이 있다, 8월초순, 종학당 오래.. 더보기 돈암서원 돈암서원 돈암서원, 遯巖書院, 사적 제 383호, 건립시기 1634년, 면적 5,590m2, 소재지 / 충남 논산시 연산면 임3길 26-14 충남 논산시 연산면 임리 74 배롱나무꽃 풍경이 아름다운 곳을 들라면 많은곳을 떠 올리게 되지만 논산의 돈암서원을 들지 않을수 없다, 돈암서원은 1634년(인조12년) 김장생 .. 더보기 휴휴암 휴휴암 쉬고 또 쉰다는 뜻을 가진 휴휴암, 미워하는 마음, 어리석은마음, 시기와 질투, 증오와 갈등까지 팔만사천의 번뇌를 내려놓는곳, 묘적전 이라는 법당 하나로 창건된 휴휴암은 1999년 바닷가에 누운 부처님 형상의 바위가 발견되어 불자들 사이에 명소로 부상했다, 바닷가 100평 남짓.. 더보기 허균, 허난설헌 기념공원 허균, 허난설헌 기념공원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난설헌로193번길 1-29 (초당동) 강릉시 초당동에 위치한 허균·허난설헌 기념공원은 조선시대 만들어진 최초의 한글 소설 홍길동전을 지은 허균과 최고의 여류 문인으로 인정받고 있는 허난설헌 이 두 남매를 기념하기 위한 문학 공원이다.. 더보기 초여름 공세리성당 초여름 공세리성당 공세리성당 / 貢稅里聖堂 공세리성당은 가톨릭 성당으로 1895년 6월 드비즈(Devise, 成一論) 신부가 공세리로 부임하면서 본당이 설립되었다. 주보성인은 성 베네딕토 이며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에 있으며 천주교 대전교구 소속 성당이다, 대전교구 에서는 가장.. 더보기 아산 고성사 아산 고성사 소재지 / 충남 아산시 인주면 공세길86번길 14-16 (우)31427 지번 /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337-830 전 화 / 041-533-5787 충남 아산시 소재 고성사 불사리탑 점안식과 봉안법회가 있어 다녀왔다, 고성사가 있는 인주면 공세리는 카톨릭의 유명한 성지 공세리성당이 있는곳으로 공세리성.. 더보기 한림공원 재암민속촌 한림공원 재암민속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 2487-1 제주 한림공원 안에있는 재암민속마을 모습이다, 현대문명의 발전과 더불어 사라져가는 제주 전통초가의 보존을 위해서 북제주군 한림읍, 구좌읍, 애월읍 등지에 있었던 실제 초가를 원형 그대로 이설, 복원해놓은 곳이.. 더보기 익산 왕궁유적지 익산 왕궁유적지 왕궁리라는 마을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이곳은 옛날 백제 왕궁이 있던 마을이다. 그러나 실제로 가보면 이곳에 과연 왕궁이 있었을까 조금 의아한 생각이 들기도 한다, 왕궁리 유적지에 있던 건물들은 대부분 목재로 지어졌으나, 안타깝게도 지금은 거의 사라진 상태이다.. 더보기 논산 명재 고택 /윤증선생고택 논산 명재 고택 윤증선생 고택 우리 옛 풍경 중에서 없어지고 잊혀저가는 풍경중 하나가 장독대이다, 주거형태가 단독주텍에서 아파트 공동주택으로 바뀌어 장독대를 둘 여유공지도 없을뿐 아니라 손수 된장이나 간장, 고추장을 집에서 만들어 먹기도 아파트 문화에서는 사실 쉬운일이 .. 더보기 미륵사지 석탑 미륵사지 석탑 익산 미륵사지 석탑 (益山 彌勒寺址 石塔) / 국보 제11호 미륵사지 석탑이 복원을 마치고 준공 되었다는 신문기사를 보고 가봐야 되겠다 마음 먹었지만 이런저련 일로 마루어 오다 요번에 다녀왔다, 내가 석탑에 관심을 갖게된 계기는 고2때 읽은 현진건의 장편소설 "무영탑.. 더보기 우이동 보광사 우이동 보광사 보광사는 서울 강북구 우이동76-19번지 삼각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덕성여자대학교 건너편엔 울창한 소나무숲으로 이루어진 우이동 솔밭공원이 있고 공원 좌측편길을 따라 한20여분 오르면 좌측으로는 419국립묘지가 보이고 곧장 오르면 삼각산 .. 더보기 제주 약천사 제주 약천사 주 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이어도로 293-28 구 지번 주소 / 서귀포시 대포동 1165 (지번) 전 화 / 064-738-5000 조선초기 불교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약천사는 지상 30m(일반건물 10층), 건축 연면적 3,305㎡에 이르며 단일사찰로서는 동양 최대를 자랑한다. 법당 내부 정면에는 국..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9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