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사
조계사 불기2567년 부처님 오신날을 앞두고 한국불교의 총본산인 조계사를 찾아갔다, 경내에는 화려한 오색연등이 하늘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빼곡히 곱게 걸리고 여기저기에서 부처님 오신날 준비에 한창이었다, 마침 오늘 동자승 삭발 수계식이 있었는데 참관하지는 못했다, 금년 부처님오신날 도량등 표어는 '천년을 세우는 열암곡 부처님' 으로 정했다 한다, 불교는 자기 자신이 깨달음을 얻어 스스로 부처가 되는 자기 본위적 인간 친화적인 종교라 생각한다, 불교는 구도의 길을 통해 잊었던 참 나를 알아가는 과정의 종교가 아닐까한다, 2023, 5, 9, 촬영,
더보기
무안대군 광평대군 영순군 제향봉행 -1
무안대군 광평대군 영순군 제향봉행 -1 1, 일 시 / 2023, 5, 4,(목) 12;002, 장 소 / 전주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서울 강남구 수서동 산 10-13, 주 관 / 전주이씨광평대군파종회 3, 조선 태조의 아들인 무안대군 이방번, 세종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 이여, 그리고 광평대군의 아들인 영순군의 묘역이 있는 서울 수서동 전주이씨 광평대군파묘역에서 이규명종손, 이원하이사장 및 종문 500여명이 참석한 가온데 제향 봉행 행사가 있었다, 4, 이 묘역 일원은 서울근교에서 현존하는 묘역중 오랜 세월동안 원형 그대로 가장 잘 유지 보존되어 있는곳으로 총면적 125,237평의 산에 광평대군의 묘소를 비롯한 태조의..
더보기
무안대군 광평대군 영순군 제향봉행 -2
무안대군 광평대군 영순군 제향봉행 -2 1, 일 시 / 2023, 5, 4,(목) 12;00 2, 장 소 / 전주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서울 강남구 수서동 산 10-1 3, 주 관 / 전주이씨광평대군파종회 3, 조선 태조의 아들인 무안대군 이방번, 세종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 이여, 그리고 광평대군의 아들인 영순군의 묘역이 있는 서울 수서동 전주이씨 광평대군파묘역에서 이규명종손, 이원하이사장 및 종문 500여명이 참석한 가온데 제향 봉행 행사가 있었다, 4, 이 묘역 일원은 서울근교에서 현존하는 묘역중 오랜 세월동안 원형 그대로 가장 잘 유지 보존되어 있는곳으로 총면적 125,237평의 산에 광평대군의 묘소를 비롯한 태조의 아드님이신 무안대군 방번의 묘소와 그 종문 700여기의 묘소가 있으며 사당과 재실..
더보기
무안대군 광평대군 영순군 제향봉행 -3
무안대군 광평대군 영순군 제향봉행 -3 1, 일 시 / 2023, 5, 4,(목) 12;00 2, 장 소 / 전주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서울 강남구 수서동 산 10-1 3, 주 관 / 전주이씨광평대군파종회 3, 조선 태조의 아들인 무안대군 이방번, 세종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 이여, 그리고 광평대군의 아들인 영순군의 묘역이 있는 서울 수서동 전주이씨 광평대군파묘역에서 이규명종손, 이원하이사장 및 종문 500여명이 참석한 가온데 제향 봉행 행사가 있었다, 4, 이 묘역 일원은 서울근교에서 현존하는 묘역중 오랜 세월동안 원형 그대로 가장 잘 유지 보존되어 있는곳으로 총면적 125,237평의 산에 광평대군의 묘소를 비롯한 태조의 아드님이신 무안대군 방번의 묘소와 그 종문 700여기의 묘소가 있으며 사당과 재실..
더보기
화진포 이승만 별장, 기념관
화진포 이승만 별장, 기념관 화진포를 갈때마다 건국대통령 이승만을 떠 올린다, 그래서 화진포호수를 바라보고 있는 이승만별장, 기념관으로 발길을 돌린다, 우리나라 대한민국을 세운 위대한 건국 대통령,, 자유민주주의를 사랑했고 조국을 사랑했던 위대한 건국대통령, 이승만 건국대통령에 대한 정부와 국민의 관심은 그동안 너무 부족했고 홀대 받은것은 아니었나 나 자신부터 반성해본다, 이승만 별장은 현재의 기준으로 보면 보잘것 없이 초라하고 시설이 남루하지만 아름다운 화진포호수가 앞에 펼처저 있어 더없이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한다, 화진포는 화진포 호숫가에 해당화가 만발해 화진포라는 이름이 붙혀 졌으며 둘레 16km의 동해안 최대의 자연호수이다, 넓은 갈대밭 위에 수천마리의 철새와 고니가 날아들고 울창한 송림으로 둘러..
더보기
창덕궁의 봄
창덕궁의 봄 창덕궁 내에서도 매화등, 봄꽃들이 만개한 희우루, 낙선재 주변을 돌아 보고왔다, 희우루는 창덕궁 성정각에 부속된 누각으로 창경궁에서 창덕궁 으로 넘어가는 함양문을 지나 오른쪽편 담장안에 있다, 성정각은 세자의 교육장 이었으나 일제강점기 에는 내의원으로 사용 되기도 하였다, 성정각(誠正閣)은 단층 이지만 동쪽으로 직각으로 꺽인 2층 누각에는 희우루(喜雨樓), 보춘정(報春亭), 이라는 편액이 걸려있다, 성정각 뒤편에 있는 관물헌(觀物軒)은 왕이 자주 머물면서 독서와 접견을 했던 곳으로 현재는 집희(緝熙) 라는 현판이 남아있다, 성정각 옆 희우루에는 벚꽃이 활짝피어 봄의 운치를 더해주고 담장밖 붉은빛이 감도는 분홍의 탐스런 매화는 만첩홍매 이다, 낙선재는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가 운명..
더보기
낙안읍성민속마을
낙안읍성민속마을 주 소 / 전남 순천시 낙안면 충민길 30 순천시 낙안면 남내리 438-1 전 화 / 061-749-8831 삼한시대 마한땅, 백제 때 파지성, 고려 때 낙안군 고을터며, 조선시대 성과 동헌, 객사, 임경업장군비, 장터, 초가가 원형대로 보존되어, 성과 마을이 함께 국내 최초로 사적에 지정되었다. 조선 태조 6년(1397) 왜구가 침입하자 이 고장 출신 양혜공 김빈길 장군이 의병을 일으켜 토성을 쌓아 방어에 나섰고 300년 후, 인조 4년(1626) 충민공 임경업 장군이 낙안 군수로 부임하여 현재의 석성으로 중수했다. 다른 지역 성과는 달리 넓은 평야 지대에 1~2m 크기의 정방형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높이 4m, 너비3~4m, 성곽 총길이가 1,410m로 동내, 남내, 서내 등 3개 마을..
더보기
숭인원, 영휘원의 만추
숭인원, 영휘원의 만추 서울 도심 한복판 청량리에 숭인원, 영휘원이 있다는것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않다, 그래서 이곳은 늘 한적하고 고적한 느낌을 준다, 숭인원은 의민황태자 이은의 맏아들인 이진(李晉)의 묘소이다, 이진은 1921년 8월 18일 태어나 1922년 5월 11일에 세상을 떠났다, 순종황제는 그의 죽음을 매우 슬퍼하여 특별히 원(園)으로 조성 하였다, 영휘원은 조선 제 26대 고종의 후궁이며 의민황태자의 생모인 순헌황귀비(1854-1911) 엄씨의 원(園)이다, 원(園) 이란 왕의 사친 또는 왕세자와 그 빈의 무덤을 일컫는 말이다, 순헌귀비는 의민황태자 영왕의 어머니로 명성황후가 일본인에 의해 시해된후 고종황제의 총애를 받았다, 조선총독 이토 히로부미에 의해 황태자로 책봉된 의민황태자는 19..
더보기
바위절마을 호상놀이 -2
제27회 강동선사문화축제 바위절마을 호상놀이 -2 강동구는 2022, 10, 7,(금) ~ 10, 9,(일)까지 3일간 '빛살 가득한 날' 을 주제로 서울 암사동 유적지일대에서 제27회 강동선사문화축제를 개최한다, 축제의 일환으로 10, 8,(토) 호상놀이 행사가 있어 다녀왔다, 바위절마을 암사동(岩寺洞)은 서울시의 남동단에 위치하며 광나루 동편에 거북이와 닮은 절이있어 거북구(龜)를 사용하여 구암사(龜岩寺)라 하였으며 속칭 바위절 이라고도 하였는데 그 한자 이름으로 암사리(岩寺里)라 한데서 유래 하였다, 바위절 마을 에서는 매년 호상놀이 재연공연을 해왔고 1995,10, 6, 강동구민회관에서 동서울상고까지 광복 50주년기념 호상놀이 재연공연때 서울시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1996, 9, 30, 서..
더보기
바위절마을 호상놀이 -1
제27회 강동선사문화축제 바위절마을 호상놀이 -1 강동구는 2022, 10, 7,(금) ~ 10, 9,(일)까지 3일간 '빛살 가득한 날' 을 주제로 서울 암사동 유적지일대에서 제27회 강동선사문화축제를 개최한다, 축제의 일환으로 10, 8,(토) 호상놀이 행사가 있어 다녀왔다, 바위절마을 암사동(岩寺洞)은 서울시의 남동단에 위치하며 광나루 동편에 거북이와 닮은 절이있어 거북구(龜)를 사용하여 구암사(龜岩寺)라 하였으며 속칭 바위절 이라고도 하였는데 그 한자 이름으로 암사리(岩寺里)라 한데서 유래 하였다, 바위절 마을 에서는 매년 호상놀이 재연공연을 해왔고 1995,10, 6, 강동구민회관에서 동서울상고까지 광복 50주년기념 호상놀이 재연공연때 서울시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1996, 9, 30, 서..
더보기
2022 사직대제
2022 사직대제 사직대제(社稷大祭) ; 국가무형문화재 제111호, 2022 국태민안 과 풍년기원 일 시 ; 2022, 9, 24,(토) 12;00 ~ 13;30 장 소 ; 사직단 (서울 종로구 사직로 89) 주 최 / 주관 ; (사)국가무형문화재 사직대제보존회 후 원 / 문화재청 외, 사직대제는 국가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제사로 농업을 중시하고 백성들을 사랑했던 선조들의 얼이 깃든 국가적인 중요행사 이다, 행사내용 ; 어가행렬, 제관행렬, 내빈소개및 봉행인사 축사, 사직대제 봉행, 삼헌관및 세자(삼정승)소개, 음복(중식) 제례절차 ; 영신례 - 전폐례 - 진숙 - 초헌례 - 아헌례 - 종헌례 - 음복례 - 철변두 - 송신례 - 망료, 사직은 원래 토지신인 사(社)와 곡물신인 직(稷)을 상징하며, 사..
더보기
사직대제 어가행렬
사직대제 어가행렬 일시 / 2022, 9, 24,(토) 10;30 - 11;20 장 소 / 창덕궁 돈화문 앞 출발 ~ 안국동사거리 ~ 광화문 ~ 사직로 ~사직단 주 관 / (사)국가무형문화재 사직대제보존회 가을이 깊어가는 9월의 마지막 주말 하늘은 잉크빛으로 푸르고 덥지도 춥지도 않은 초가을날 서울에서는 어가행렬과 사직대제가 있어 다녀 왔다, 국가무형문화재 사직대제는 국가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제사로 농업을 중시하고 백성들을 사랑했던 선조들의 얼이 깃든 국가적인 중요 행사인데 사직대제에 앞서 어가행렬이 있었다, 어가행렬은 왕의 권위를 백성에게 보이고 백성을 사랑하는 왕의 마음이 담긴 왕과 백성이 하나가되는 국가적인 큰 행사로 왕 뒤에는 조정의 문무백관들이 뒤를 따랐다, 2022, 9, 24, 촬영, ..
더보기
정릉 신덕고황후 강씨 제향 이모저모
신덕고황후 강씨 제향 이모저모 1, 일 시 / 2022, 9, 23,(금) 11;30 2, 장 소 / 세계유산 조선왕릉 정릉 / 貞陵(서울 성북구) 국가지정문화재 / 사적 제208호 3, 주 관 /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4, 주 최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5, 섭행단체 / 정릉봉향회(세종대왕 제5왕자 전주이씨 광평대군파종회) 정릉은 조선 제1대 태조의 계후 신덕고황후 강씨의 능이다, 신덕고왕후는 상산부원군 강윤성의 딸로 태조의 계후이다, 제향이 있던날 해맑은 전형적인 가을 하늘이 펼처젔으나 제향을 올리던 12시경 갑자기 먹구름이 몰려와 어두컴컴해 지더니 소나기가 한 30여분 앞이 보이지않을 정도로 내리는 변덕스러운 날씨였다, 신덕왕후의 가문은 고려의 권문세가로 태조 이성계가 중앙정계에 진출하여 정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