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유적·문화재 썸네일형 리스트형 창경궁의 봄 창경궁의 봄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弘化門)을 들어서면 갈수기라서 현재는 물이없지만 명당수인 금천이 있고 500년도 더 된 보물 제386호인 옥천교(玉川橋)가 놓여 있는데 바로 이 옥천교 금천 주변에 벚꽃이 만개 하였다, 명정전 일원을 지나 경춘전(景春殿) 과 환경전(歡慶殿),, 통명전(通明殿) 과양화당(養和堂) 사이 큰 살구나무에도 살구꽃이 한창 열꽃같이 활짝 피어통명전과 양화당에서 바라보는 풍경이 그 어느때 보다도 아름답다, 창경궁에서 왕비가 거처하는 내전인 통명전과 주로 후궁들이 머물렀던영춘헌 주변 봄 꽃들을 보면서 조선 궁궐여인들은 저곳에서 임금이 오기를기약없이 기다리며 봄이면 꽃구경으로 위안을 삼았지 않았을까 짐작해본다, 여기에 '임제'(林悌 1549~1587)의 시 "패강곡"(浿江曲) 10수의.. 더보기 창덕궁 만첩홍매화 창덕궁 만첩홍매화 창덕궁에 만첩홍매화가 피었다는 소식을 전해듣고 한걸음에창덕궁으로 달려갔다, 만첩홍매화는 5%덜 핀 만개 직전 상태였다,푸르게 맑았던 하늘에 갑자기 먹구름이 몰려오더니 세찬 바람이불고 눈발이 휘날리는 고약한 날씨였다, 눈발은 곧 그첬다, 창덕궁에서 창경궁으로 넘어가는 함양문앞 넓은 길은원래 높은 월대 위에 당당하게 자리한 중희당(重熙堂)이 있었던자리로 이 일대가 왕세자의 거처인 동궁(東宮)이 있었다, 그러나 중희당은 1891년(고종28)에 없어지고 중희당과 연결된칠분서(七分序), 6각 누각인 삼삼와(三三窩)와 승화루(承華樓)가남아 있는데 바로 그 칠분서와 삼삼와 앞에 아주 귀한 진분홍의 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만첩홍매화는 마치 홍역의 열꽃처럼 볼그레하게 활짝 피어 오가는사람들의 눈길을.. 더보기 반룡송 반룡송(蟠龍松) 주소 /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도립리 201-1 천연기념물 제381호로 지정 보호 관리되고 있는 소나무로도립리 어산마을 밭 가온데 낮은 울타리가 처진 가온데보조 받침목의 부축을 받으며 서있다, 반룡송 이라는 이름 외에도 일만년이상 살아갈 용송(龍松)이라하여 만년송(萬年松)이라고 부르기도한다, 반룡송의 높이는 4,25m,가슴 높이의 둘레는 1,83m이다, 높이 2m 정도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갈라저 넓게 퍼져 있으며하늘을 향한 가지는 마치 용트림을 하듯 기묘한 형상으로 비틀리면서180도 휘어진 모습을 하고 있다, 소나무의 변이종으로 보이며 용이 하늘로 승천하기 전에 땅에웅크리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하여 '반룡송' 이란 이름이 븥혀젔다,신라말엽 당대 풍수지리에 능한 도선국사가 이곳과 함흥, .. 더보기 폭설 내린 경복궁 -2 폭설 내린 경복궁 -2 11월에 첫 눈이 폭설로 서울등 수도권에 이렇게 많이 내린것은기상관측 이래 처음있는 117년 만의 일 이라 한다,11월의 폭설이 축복일지 아니면 자연재앙의 시작일지 알수없어마냥 좋아 할수만은 없는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폭설 설경을 볼수있는 절호의 좋은 기회에 경복궁엘 갈까아니면 철원의 두루미, 팔당의 고니촬영 등, 어데로 갈까 잠시망설이다가 경복궁으로 직행 08;30경 경복궁에 도착했다,이유는 알수 없으나 오늘은 무료입장이란다, 1등으로 입장하여근정전에 이르니 경복궁 궁내는 그야말로 눈 세상 설국이었다, 1968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가와바다 야스나리" 의 "설국" 이 문득떠 올랐다, - 접경의 긴 터널을 빠저 나오자 그 곳은 설국이였다 -,이렇게 시작되는 소설,, 그리고 .. 더보기 폭설 내린 경복궁 -1 폭설 내린 경복궁 -1 - 한겨울 못잊을 사람하고 한계령쯤을 넘다가뜻밖의 폭설을 만나고 싶다,뉴스는 다투어 수십년만의 풍요를 알리고자동차들은 뒤뚱거리며제 구멍을 찾아가느라 법석이지만한계령의 한계에 못 이긴척 기꺼이 묶였으면,오 오,, 눈부신 고립,사방이 온통 흰 것뿐인 동화의 나라에발이 아니라 운명이 묶였으면, - 폭설이 내려 설경을 보려 전철을 타고 경복궁으로 향하면서문정희시인의 시 '한계령을 위한 연가' 를 혼자말로 중얼 거렸다, 경복궁 궁내는 마치 영화 '러브 스토리' 의 한 장면처럼폭설이 내려 온통 눈세상 이었다, 1970년 '아서'힐러' 감독 '에릭시걸' 원작의 영화'러브 스토리' (Love Story ),,하버드 법대생 '올리버' 와 길 건너 래드 클리프 여대생 '제니퍼' 와의사랑 이야기,, .. 더보기 계룡산 갑사 탄주스님 천연염색 계룡산 갑사 탄주스님 천연염색 단풍이 아름다운 계룡산 갑사로 단풍을 보러 갔는데아직 일러 단풍은 들지 않았고 갑사 경내에서는 임시가설 텐트를 여럿 치고 무슨 행사가 한창이었다, 그런데 한편에는 천연염색 실크 스카프 탄주스님 이라고쓰인 작은 텐트하나가 눈에 띠었다, 가까이 다가가 보니탄주스님이 손수 천연염색으로 물들인 고운 실크스카프를펼처놓고 판매하고 있는것이었다, 스님께 합장을 하고 공손히 인사를 드리고 사진활영 허락을받고 몇컷 촬영했다, 스님의 밝고 환한 인자하신 얼굴 모습에서부처님의 모습을 보는것 같았고 다정한 말씀에서 좋은 교훈을받았다, 인공의 화학 염료가 아닌 천연염색의 염색재료는 식물성재료,동물성재료, 광물성재료의 순으로 귀하고 값이 비싸다,가장 비싼 염색재료를 들라 한다면 노란색 염료인 향신료.. 더보기 경복궁 가을이 떠나다 경복궁 가을이 떠나다 경복궁의 단풍을 보지 않고 가을을 그냥 보내기가 섭섭하여좀 늦었지만 경복궁을 찾아가 09시 문을 열자마자 맨 첫번째로입장했다, 경복궁 궁내는 아무도 없는 텅 빈 상태였다, 관람객이 입장하기전에 서둘러 근정전 전경을 촬영했다, 잠시후 눈 깜박할 사이관광객들이 구름처럼 몰려 입장했다, 순식간에 경복궁 궁내는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외국인 관광객들로 넘처났다, 어느 구석엘 가도 가을 고운 단풍은 볼수 없었고 시들고 말라버린단풍의 빈 껍질 쭉정이 뿐이었다, 가을은 이미 경복궁을 떠난듯 했다,그러나 빈 손으로 돌아갈수는 없어 추수가 끝난 빈 들판에서 이삭을줍듯 몇컷 촬영했다, 2024, 11, 18, 촬영, 더보기 마곡사의 가을 마곡사의 가을 마곡사는 산사, 산지승원 이라는 명칭으로 천년 넘게 우리 불교문화를계승하고 지킨 종합승원 7곳 가온데 하나로 그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한국의 19번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시몬, 너는 좋으냐, 낙엽 밟는 소리가,,'레미 드 구르몽' 의 시 "낙엽" 한 구절이 떠 오르는 만추다, 단풍 풍경이 아름다운 절을 손 꼽으라 한다면 마곡사를 빼놓을수없을것이다, 마곡사는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에 있다, 마곡사가 들어앉은 자리는 이중환의 "택리지" 나 "정감록" 에서는전란을 피할수 있는 십승지지(十承之地)중 한곳의 명당으로손 꼽는곳이다, 조선 숙종때 사람 송상기는 "유마곡사기" 에서"절은 고갯마루 아래에 있었고 10여리 길가에 푸른 시냇물과흰 바위가 있어 저절로 눈이 트였다" 라고 마곡.. 더보기 제628주기 정릉(신덕고황후 강씨) 기신제향 -3 제628주기 정릉 기신제향 -3(태조고황제계후 신덕고황후 강씨) 1, 일 시 / 2024, 9, 23,(월) 11;302, 장 소 / 세계유산 조선왕릉 정릉 / 貞陵(서울 성북구) 국가지정문화재 / 사적 제208호3, 주 관 / 사단법인 전주이씨대동종약원4, 주 최 /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섭행단체 / 정릉봉향회(세종대왕 제5왕자 광평대군파종회) 정릉은 조선 제1대 태조의 계후 신덕고황후 강씨의 능이다,신덕고왕후는 상산부원군 강윤성의 딸로 태조의 계후이다, 찌는듯한 무더위도 물러가고 선선한 가을 바람이 불어오는쾌청하게 맑은날 정릉기신제향이 많은 종문들이 참석한 가온데성대하게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섭행단체인 광평대군파 종회 이원하 이사장을 비롯하여대한제국의 황사손(皇嗣孫).. 더보기 제628주기 정릉(신덕고황후 강씨) 기신제향 -2 제628주기 정릉 기신제향 -2(태조고황제계후 신덕고황후 강씨) 1, 일 시 / 2024, 9, 23,(월) 11;302, 장 소 / 세계유산 조선왕릉 정릉 / 貞陵(서울 성북구) 국가지정문화재 / 사적 제208호3, 주 관 / 사단법인 전주이씨대동종약원4, 주 최 /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섭행단체 / 정릉봉향회(세종대왕 제5왕자 광평대군파종회) 정릉은 조선 제1대 태조의 계후 신덕고황후 강씨의 능이다,신덕고왕후는 상산부원군 강윤성의 딸로 태조의 계후이다, 찌는듯한 무더위도 물러가고 선선한 가을 바람이 불어오는쾌청하게 맑은날 정릉기신제향이 많은 종문들이 참석한 가온데성대하게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섭행단체인 광평대군파 종회 이원하 이사장을 비롯하여대한제국의 황사손(皇嗣孫).. 더보기 제628주기 정릉(신덕고황후 강씨) 기신제향 -1 제628주기 정릉 기신제향 -1(태조고황제계후 신덕고황후 강씨) 1, 일 시 / 2024, 9, 23,(월) 11;302, 장 소 / 세계유산 조선왕릉 정릉 / 貞陵(서울 성북구) 국가지정문화재 / 사적 제208호3, 주 관 / 사단법인 전주이씨대동종약원4, 주 최 /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섭행단체 / 정릉봉향회(세종대왕 제5왕자 광평대군파종회) 정릉은 조선 제1대 태조의 계후 신덕고황후 강씨의 능이다,신덕고왕후는 상산부원군 강윤성의 딸로 태조의 계후이다, 찌는듯한 무더위도 물러가고 선선한 가을 바람이 불어오는쾌청하게 맑은날 정릉기신제향이 많은 종문들이 참석한 가온데성대하게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섭행단체인 광평대군파 종회 이원하 이사장을 비롯하여대한제국의 황사손(皇嗣孫).. 더보기 우이동 보광사 연등 우이동 보광사 연등 보광사는 서울 강북구 우이동76-19번지삼각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덕성여자대학교 건너편엔 울창한 소나무숲으로 이루어진 우이동솔밭공원이 있고 공원 좌측편길을 따라 한10여분 오르면 좌측으로는419국립묘지가 보이고 곧장 오르면 삼각산 영봉 바로아래 보광사가 있다, 보광사를 뒤로하고 계속 산길을 오르면 진달래능선이며대동문으로 이어지는 산행길이다. 사찰의 연혁은 문헌상으로는 전하는 것이 없는데, 여러 전승에 따르면1788년 금강산에서 수도한 원담스님이 창건하여 신원사라 하였다고 한다.이후 한국전쟁으로 인해 소실되고 일부 건물만이 남아 법등(法燈)을 이어왔다고한다. 이러한 내용은 근래까지 이 지역에 살았던 노인들의 증언으로 알 수 있었으며,1980년대 건물을 지을 때.. 더보기 화계사 연등 화계사 연등 화계사는 서울 강북구 수유동 북한산 자락에있는 사찰이다.불기2568년(2024) 부처님 오신날을 앞두고 경내에는 화려한오색연등이 곱게 걸리고 신도들의 발걸음이 분주하다, 화계사는 숭산스님이 계셨던 사찰로 유명하지만 한때 벽안의이 계셨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조계사의 말사로 1522년(중종17) 신월이 창건했고,1618년(광해군10)화재로 전소되자 흥덕대군의 시주로 도월이 중창 하였다.그후 건물이 많이 퇴락하자 1866년(고종3) 용선과 범운이 흥선대원군의시주를받아 중창했으며 이후로도 몇차례 중수하였다. 현각스님은 독일계 미국인으로 카톨릭 집안 태생으로 카톨릭계사립고등학교를 다니며 영적 방황을 격었고 결국 예일대에 입학해철학과 문학을 전공 했다. 이때 쇼펜하우어와 낭만파 시인들에 심취하였고 19.. 더보기 필경재 필경재 주 소 / 강남구 수서동 739-1, 서울 강남구 광평로 205 전철 3호선 수서역 1출구 500m,전 화 / 02-445-2115, 서울 수서전철역과 일원역 사이 수서성당옆에 범상치 않아보이는 아주 오래된 한옥이 있다, 넓다란 주차장 뒤편에솟을 대문처럼 생긴 한옥 이마엔 '필경재'라는 옥호를 달고있다, '필경재'는 조선 성종때 가 지은 집으로서울 에서는 500년이 넘는 오랜 내력을 갖인 유일한 가옥이다. '필경재' 는 '반드시 웃 어른을 공경 할줄아는 자세를 지니고 살라'라는 뜻을 갖이고 있다, 1987년 문화공보부가 로 지정 하였다. 이 집 에서는 북한산성을 축조한 숙종때 영의정을 지낸 혜정공녹천 '이유' 를 비롯하여 효종때 우의정을 지낸.. 더보기 2024 무안대군 광평대군 영순군 제향 -3 2024 무안대군 광평대군 영순군 제향 -3 1, 일 시 / 2024, 4, 23,(화) 12;002, 장 소 / 전주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서울 강남구 광평로 31길 20(수서동)3, 주 관 / 전주이씨광평대군파종회 3, 조선 태조의 아들인 무안대군 이방번, 세종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 이여, 그리고 광평대군의 아들인 영순군의 묘역이 있는 서울 수서동 전주이씨 광평대군파묘역에서 이규명종손, 이원하이사장 및 종친 종문 500여명이 참석한 가온데 제향행사가 있었다, 4, 이 묘역 일원은 서울근교에서 현존하는 묘역중 오랜 세월동안 원형 그대로 가장 잘 유지 보존되어 있는곳으로 총면적 125,237평의 산에 광평대군의 묘소를 비롯한 태조의 아드님이신 무안대군.. 더보기 2024 무안대군 광평대군 영순군 제향 -2 2024 무안대군 광평대군 영순군 제향 -2 1, 일 시 / 2024, 4, 23,(화) 12;002, 장 소 / 전주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서울 강남구 광평로 31길 20(수서동)3, 주 관 / 전주이씨광평대군파종회 3, 조선 태조의 아들인 무안대군 이방번, 세종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 이여, 그리고 광평대군의 아들인 영순군의 묘역이 있는 서울 수서동 전주이씨 광평대군파묘역에서 이규명종손, 이원하이사장 및 종친 종문 500여명이 참석한 가온데 제향행사가 있었다, 4, 이 묘역 일원은 서울근교에서 현존하는 묘역중 오랜 세월동안 원형 그대로 가장 잘 유지 보존되어 있는곳으로 총면적 125,237평의 산에 광평대군의 묘소를 비롯한 태조의 아드님이신 무안대군.. 더보기 2024 무안대군 광평대군 영순군 제향 -1 2024 무안대군 광평대군 영순군 제향 -1 1, 일 시 / 2024, 4, 23,(화) 12;002, 장 소 / 전주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서울 강남구 광평로 31길 20(수서동)3, 주 관 / 전주이씨광평대군파종회 3, 조선 태조의 아들인 무안대군 이방번, 세종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 이여, 그리고 광평대군의 아들인 영순군의 묘역이 있는 서울 수서동 전주이씨 광평대군파묘역에서 이규명종손, 이원하이사장 및 종친 종문 500여명이 참석한 가온데 제향행사가 있었다, 4, 이 묘역 일원은 서울근교에서 현존하는 묘역중 오랜 세월동안 원형 그대로 가장 잘 유지 보존되어 있는곳으로 총면적 125,237평의 산에 광평대군의 묘소를 비롯한 태조의 아드님이신 무안대군.. 더보기 천주교 하흑공소 천주교 하흑공소 주 소 / 충남 당진시 합덕읍 하흑1길 2 지번주소 / 합덕읍 신석리 214 - 8 하흑공소 입구에 있는 목련이 막 꽃망울을 터 뜨릴때 이곳을 찾아 갔어야 하는데 좀 늦게 갔더니 벌써 목련은 꽃이 지고 대신 노랗게 핀 수선화가 반겨 주었다, 하늘도 잿빛으로 흐리고 날씨는 좋지 않았지만 몇컷 담았다, 2024, 4, 8, 촬영, 더보기 대흥동헌의 봄 예산 대흥동헌의 봄 위 치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의좋은형제길 33 지정내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4호(2003.10.30 지정) 대흥동헌은 흐드러지게 핀 벚꽃과 장독이 관아 건물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해주는곳이다, 이곳을 찾아 갔을때 벚꽃은 눈부시고 아름답게 활짝 만개해 있었다, 마치 얇은 피부 껍질속에 감금된 젊음의 싱그럽고 아름다움 살결처럼 싱그럽고 상큼한 아름다운 봄 풍경이었다, 동헌(東軒)이란 고을의 수령(守令)이 정무를 집행하던 건물을 말하는데, 생활 처소인 내아(內衙, 서헌이라고도 함)와 구분되어 보통 그 동편에 위치 하였기 때문에 동헌이라 불리게 되었으며 수령이 주재하는 관청(官廳)의 본 건물이다. 대흥동헌은 정면 6칸(14.4m), 측면 2칸(4.8m), 처마높이 3... 더보기 경복궁의 봄 경복궁의 봄 고궁의 봄 풍경 중에서도 경복궁 경회루의 봄 풍경은 춘정을 이기지 못하고 늘어저 핀 수양벚꽃이 있어 더욱 아름답다, 경복궁은 조선왕조가 한양에 세운 다섯 궁궐 중 최초의 궁궐이다, 경복궁의 이름 경복(景福)은 '큰' '복' 이라는 뜻으로 태조의 명을 받아 1395년(태조4) 정도전이 세운 공간이다, 하지만 경복궁은 1592년(선조25) 임진왜란 이후 전소되어 270여년 동안 방치되었다, 고종이 즉위한후 1865년(고종2) 4월 2일에 대왕대비인 신정왕후의 명으로 시작되어 흥선대원군에 의해 중건되었다, 경회루도 1867년(고종4)과 1868년(고종5)사이 재건이 완성된것으로 보인다, '경회'(慶會)란 '모여서 경사를 기뻐한다' 라는 뜻인데 하륜이 의미를 확장해 임금과 신하가 덕으로 만난다 라는.. 더보기 이전 1 2 3 4 ··· 25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