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개비 유조 둥지밖으로 나오다 -2
개개비 유조 둥지밖으로 나오다 -2 '이소'(離巢)라는 말은 한자로 '떠날 이' '새집 소' 자를 쓰고 있는데국어사전에서는 '새의 새끼가 빨리 자라 둥지를 떠나는것,, 이라고풀이하고 있다, 개개비 유조 어린 새끼들이 그동안 어미새의 정성 스러운 육추 덕분에'이소'하고 있는 장면이다, 새끼가 둥지를 박차고 떠나도 당장 사냥할능력이 없음으로 며칠간은 둥지 근처에 머물며 어미새가 사냥해 온곤충류를 받아 먹곤한다, 요즈음 장마철을 맞이하여 연일 흐리고 비가 오락가락하는 궂은 날씨이다,이런 날은 음악감상이 제격이 아닐까 생각 한다, 음악을 감상 하다보면주로 실내악과 오페라 아리아등, 성악곡 위주로 듣게 되지만, 때로는 평소에는잘 듣지않는 곡을 선곡해 듣기도 한다, 오늘은 '폴 뒤카'(Paul Dukas)의 '..
더보기
연꽃 옆에서
연꽃 옆에서 연꽃의 꽃말은 청렴, 순결, 깨끗한 마음이다,인도의 '인디안 로터스'(Indian eater)가 우리나라의 연이다,연은 풍요, 행운, 번영, 장수, 건강 및 명예의 상징으로 여겼으며대지와 창조력, 신성및 영원불사의 상징으로도 삼았다, 인도 고대 민속에서 연은 여성의 생식을 상징하고 다산과생명의 창조를 나타내는 꽃으로 여겼다,인도에서 BC3000년경 만든것으로 추정되는 연꽃의 여신상이발굴된바 있으며 바라문교의 경전에는 이 여신이 연꽃위에 서서연꽃을 쓰고 태어났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불교의 출현에 따라 연꽃은 부처님의 탄생을 알리려 연꽃이피었다는 믿음을 갖이고 있으며 불교의 상징적인 꽃이 되었다, 세미원에서 연꽃을 촬영하면서 문득 만해 한용운의 시 "알 수 없어요"한 구절을 떠 올려본다, 연꽃..
더보기
개개비 유조 둥지밖으로 나오다 -1
개개비 유조 둥지밖으로 나오다 -1 '이소'(離巢)라는 말은 한자로 '떠날 이' '새집 소' 자를 쓰고 있는데국어사전에서는 '새의 새끼가 빨리 자라 둥지를 떠나는것,, 이라고풀이하고 있다, 개개비 유조 어린 새끼들이 그동안 어미새의 정성 스러운 육추 덕분에'이소'하고 있는 장면이다, 새끼가 둥지를 박차고 떠나도 당장 사냥할능력이 없음으로 며칠간은 둥지 근처에 머물며 어미새가 사냥해 온곤충류를 받아 먹곤한다, 장마철이 되어 오늘은 종일 비가 내리고 있다,문득 젊은시절 한때 즐겨 들었던 올드팝 한곡이 생각난다,Raindrops are falling on my head,"빗방울이 내 머리위에 떨어저요"B, J, Thomas 노래,,유투브로 노래 들어보기 (1132) Raindrops Keep Falling..
더보기
개개비 육추 -5
개개비 육추 -5 수도권의 한 공원 연못에서 개개비가 육추하고 있는 모습이다,연못 정비 차원에서 연못내 갈대를 베어내다 개개비 둥지가발견되어 둥지 있는곳만 갈대를 남겨 두었다, 둥지에는 알에서 부화된지 한 일주일 정도된 제법 자란 유조3마리가 있다, 요즘 날씨가 한낮에는 찜통 더위라서 새벽에 일찍몇 커트 촬영하고 햇볕이 뜨거워 지기전에 철수 해야한다, 아주 멀고 먼 옛적바닷가 어느 왕국에당신이 알지도 모를 에너벨리 라는 소녀가 살았다네날 사랑하고 내 사랑 받는 것 이외에는다른 생각 없이 사는 아가씨,, 이렇게 시작하는 라는 시를 혹시 기억하고 있는지,,이 시를 쓴 "에드거 앨런 포" 는 27살에 14살이나 어린 사촌 버지니아와 결혼 했다,그녀는 가난에 시달리다 24살에 폐결핵으로 세상을 떠났다,상심한 ..
더보기
블랙이글스 에어쇼 -2
제1회 방위산업의 날블랙이글스 에어쇼 -2 방위산업의 날은 방위산업의 중요성을 알리기위해 2023, 8월방위산업발전법 개정을 통해 국가기념일로 신설 되었다, 국민공모를 통해 방위산업의 날로 지정된 7월 8일은 난중일기에기록된 거북선의 첫 출전일(1592년, 사천해전)로 국토수호의지의역사적 의미가 고려된것이다, 제1회 방위산업의 날을 맞이하여서울 반포한강공원 상공에서는 11;00~11;15까지 약 15분간블랙이글스 비행팀의 에어쇼가 펼처젔다, 찌는듯한 무더운 날씨였지만 다행이 하늘은 푸르고 맑아 에어쇼를촬영하는데는 더없이 좋은 날씨였다, 에어쇼는 성남서울공항에서격년제로 시행되는 에어쇼에 비교하여 다소 내용이 축소된 에어쇼였다,우리 자랑스러운 보라매, 공군장병 여러분이 자랑스럽고 든든하다, 2025, 7, ..
더보기
블랙이글스 에어쇼 -1
제1회 방위산업의 날블랙이글스 에어쇼 -1 방위산업의 날은 방위산업의 중요성을 알리기위해 2023, 8월방위산업발전법 개정을 통해 국가기념일로 신설 되었다, 국민공모를 통해 방위산업의 날로 지정된 7월 8일은 난중일기에기록된 거북선의 첫 출전일(1592년, 사천해전)로 국토수호의지의역사적 의미가 고려된것이다, 제1회 방위산업의 날을 맞이하여서울 반포한강공원 상공에서는 11;00~11;15까지 약 15분간블랙이글스 비행팀의 에어쇼가 펼처젔다, 찌는듯한 무더운 날씨였지만 다행이 하늘은 푸르고 맑아 에어쇼를촬영하는데는 더없이 좋은 날씨였다, 에어쇼는 성남서울공항에서격년제로 시행되는 에어쇼에 비교하여 다소 내용이 축소된 에어쇼였다,우리 자랑스러운 보라매, 공군장병 여러분이 자랑스럽고 든든하다, 2025, 7, ..
더보기
개개비 육추 -3
개개비 육추 -3 수도권의 한 공원 연못에 갈대와 부들이 심어저 있는데 여름철을맞이하여 연못 정비차원에서 갈대를 베어내던 중 개개비집을 발견하였다,개개비 유조들은 어른스럽게 자라 마침 이소직전 상태였다, 이소를 앞둔 갈대밭의 개개비 육추 모습에서 강한 모성애가 느껴진다,둥지안에는 개개비 유조 3마리가 있었는데 한 마리는 둥지밖으로 나와이소한 상태이고 나머지 두마리도 곧 이소할것으로 보인다, 요즘 연일 찌는듯한 폭염이 이어지고 있다,여름 피서철이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 곡은 아마도 1959년 미국영화"피서지에서 생긴일" 의 주제가 "퍼스 페이스 악단" 연주,,"썸머 플레이스"( A Summer Place)가 아닐까 생각한다,이 영화의 주연은 조니역에 "트로히 도나휴", 모리역에 "산드라 디" 였다, 여름과 ..
더보기
개개비 육추 -1
개개비 육추 -1 신경림 시인은 '갈대' 라는 시에서,~~언제 부터인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그런 어느 밤 이었을것이다,갈대는 그의 온 몸이 흔들리고 있는것을 알았다,바람도 달빛도 아닌것,갈대는 저를 흔드는것이 제 조용한 울음인것을 까맣게 몰랐다, 라고 썻는데,~갈대밭이나 수런수런 연꽃이 벙그는 연밭에 가면어디선가 개~개~ 울어대는 새 소리는 들려오는데새는 보이지 않고 울음소리만 들려오는 새가 개개비이다,'개개비' 라는 명칭은 새들이 개~개~ 운다하여 붙혀진 이름이다, 수도권 근교의 한 공원 연못 갈대숲에서 개개비 육추장면을 담았다,개개비 유조는 3마리인데 그동안 어미의 정성스러운 육추 덕분으로많이 자라 오늘 한마리는 이소하고 나머지 두마리도 오늘중 아니면내일은 이소할것으로 보인다, 장마가 ..
더보기
꾀꼬리 이소 -2
꾀꼬리 이소 -2 7월에 접어 들면서 장마는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찜통더위가 찾아왔다,7월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계절이라 시인은 노래 했지만 7월은 꾀꼬리이소의 계절이기도하다, 6월 한달 꾀꼬리 육추를 보는 재미가 있어 즐거운 날들을 보냈는데그동안 꾀꼬리 유조는 어른스럽게 자라 둥지를 박차고 이소했다,아직은 어려 잘 날지도 못하고 사냥 능력이 없으므로 어미새가 사냥해온 먹이를 새끼에게 먹여주고 있었다, 사람이나 조류들이나 새끼가성장하면 집을 떠나 독립하여 홀로 거친 세파를 헤치고 살아 가야하는것이 자연의 섭리인것 같다, 꾀꼬리는 한자 표기로 여러 이름을 갖이고 있다, 황조(黃鳥) 외에도황율류(黃栗留), 황유리(黃流離), 이황(鸝鷬), 금의공자(金衣公子),창경(鶬鶊) 등이 있다. 흥미롭게도 유리왕이란 이름도 ..
더보기
꾀꼬리 이소 -1
꾀꼬리 이소 -1 7월에 접어 들면서 장마는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찜통더위가 찾아왔다,7월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계절이라 시인은 노래 했지만 7월은 꾀꼬리이소의 계절이기도하다, 6월 한달 꾀꼬리 육추를 보는 재미가 있어 즐거운 날들을 보냈는데그동안 꾀꼬리 유조는 어른스럽게 자라 둥지를 박차고 이소했다,아직은 어려 잘 날지도 못하고 사냥 능력이 없으므로 어미새가 사냥해온 먹이를 새끼에게 먹여주고 있었다, 사람이나 조류들이나 새끼가성장하면 집을 떠나 독립하여 홀로 거친 세파를 헤치고 살아 가야하는것이 자연의 섭리인것 같다, 꾀꼬리는 한자 표기로 여러 이름을 갖이고 있다, 황조(黃鳥) 외에도황율류(黃栗留), 황유리(黃流離), 이황(鸝鷬), 금의공자(金衣公子),창경(鶬鶊) 등이 있다. 흥미롭게도 유리왕이란 이름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