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수리부엉이 육추 -2 수리부엉이 육추 -2 수리부엉이는 야트막한 야산 바위절벽 움푹 들어간 곳에둥지를 틀고 새끼 두 마리를 부화 육추중이었다, 현지 주민들말에 의하면 새끼가 부화된지 4일 정도 되었다한다, 이곳에 08시경 도착했을때 어미는 둥지에 없었고 어린 새끼두마리가 잔뜩 웅크리고 잠을 자고 있었다,  어미 수리부엉이는둥지 가까운 근처에서 몸을 숨기고 둥지속의 새끼들을 주시하고있을것이 분명했다, 진사님들이 삼각대를 펼치고 촬영하는 장소와 둥지와의 거리는측량결과 45m 정도였다, 진사님들간 의견을 통일하여 어미새가둥지로 날아오기를 유도하는 의미에서 각자의 승용차에 탑승 몸을숨겨 어미가 정서적인 안정을 찾고 둥지로 날아 오기를 기다렸다, 차 안에서 숨죽여 기다린지 약 40여분후 어미새가 마침내 둥지로날아 들었다,  어미새가 .. 더보기
황조롱이 사냥 -3 황조롱이 사냥 -3 황조롱이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히 관찰할수 있는 텃새이다.관곡지 부근 호조벌 들녁에는 야생의 황조롱이 몇마리가 서식하고있는데 황조롱이의 사냥 본능을 시험해 보기로 했다, 시험 방법은 실험용 쥐를 구해서 황조롱이가 자주 출몰하는곳에놓아두고 황조롱이가 쥐를 발견하고 사냥하는 모습을 관찰하며사진으로 담는것이다, 황조롱이는 시력이 매우 밝음으로 먼 곳에서도 사냥대상을 쉽게 포착한다,  황조롱이는 소형 맹금류로 몸 길이는 수컷 30cm, 암컷 33cm 정도이며,먹이를 찾을때 공중에서 원을 그리며 돌고 일시적으로 정지 비행하는습성이 있다, 자기 자신이 둥지를 틀지않고 새매나 말똥가리가 지은둥지나 하천의 흙벽 및 암벽의 오목한 곳에 번식하며, 주로 절벽이나처마같은 곳에 둥지를 튼다, 4월 하순에서.. 더보기
수리부엉이 육추 -1 수리부엉이 육추 -1 수리부엉이는 야트막한 야산 바위절벽 움푹 들어간 곳에둥지를 틀고 새끼 두 마리를 부화 육추중이었다, 현지 주민들말에 의하면 새끼가 부화된지 4일 정도 되었다한다, 이곳에 08시경 도착했을때 어미는 둥지에 없었고 어린 새끼두마리가 잔뜩 웅크리고 잠을 자고 있었다,  어미 수리부엉이는둥지 가까운 근처에서 몸을 숨기고 둥지속의 새끼들을 주시하고있을것이 분명했다, 진사님들이 삼각대를 펼치고 촬영하는 장소와 둥지와의 거리는측량결과 45m 정도였다, 진사님들간 의견을 통일하여 어미새가둥지로 날아오기를 유도하는 의미에서 각자의 승용차에 탑승 몸을숨겨 어미가 정서적인 안정을 찾고 둥지로 날아 오기를 기다렸다, 차 안에서 숨죽여 기다린지 약 40여분후 어미새가 마침내 둥지로날아 들었다,  어미새가 .. 더보기
황조롱이 사냥 -2 황조롱이 사냥 -2 황조롱이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히 관찰할수 있는 텃새이다.관곡지 부근 호조벌 들녁에는 야생의 황조롱이 몇마리가 서식하고있는데 황조롱이의 사냥 본능을 시험해 보기로 했다, 시험 방법은 실험용 쥐를 구해서 황조롱이가 자주 출몰하는곳에놓아두고 황조롱이가 쥐를 발견하고 사냥하는 모습을 관찰하며사진으로 담는것이다, 황조롱이는 시력이 매우 밝음으로 먼 곳에서도 사냥대상을 쉽게 포착한다,  황조롱이는 소형 맹금류로 몸 길이는 수컷 30cm, 암컷 33cm 정도이며,먹이를 찾을때 공중에서 원을 그리며 돌고 일시적으로 정지 비행하는습성이 있다, 자기 자신이 둥지를 틀지않고 새매나 말똥가리가 지은둥지나 하천의 흙벽 및 암벽의 오목한 곳에 번식하며, 주로 절벽이나처마같은 곳에 둥지를 튼다, 4월 하순에서.. 더보기
길 길 이라도 좋다,길이 아니라도 좋다,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2025, 3, 8, 촬영, 더보기
황조롱이 사냥 -1 황조롱이 사냥 -1 황조롱이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히 관찰할수 있는 텃새이다.관곡지 부근 호조벌 들녁에는 야생의 황조롱이 몇마리가 서식하고있는데 황조롱이의 사냥 본능을 시험해 보기로 했다, 시험 방법은 실험용 쥐를 구해서 황조롱이가 자주 출몰하는곳에놓아두고 황조롱이가 쥐를 발견하고 사냥하는 모습을 관찰하며사진으로 담는것이다, 황조롱이는 시력이 매우 밝음으로 먼 곳에서도 사냥대상을 쉽게 포착한다,  황조롱이는 소형 맹금류로 몸 길이는 수컷 30cm, 암컷 33cm 정도이며,먹이를 찾을때 공중에서 원을 그리며 돌고 일시적으로 정지 비행하는습성이 있다, 자기 자신이 둥지를 틀지않고 새매나 말똥가리가 지은둥지나 하천의 흙벽 및 암벽의 오목한 곳에 번식하며, 주로 절벽이나처마같은 곳에 둥지를 튼다, 4월 하순에서.. 더보기
팔당의 말똥가리 팔당의 말똥가리 팔당에서 고니를 촬영중 하늘을 선회비행하고 있는말똥가리를 우연히 만났다, 말똥가리는 매목 수리과에 속하는 맹금. 학명은‘Buteo buteo’이다. 유라시아대륙 동북부, 한국, 중국,일본등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겨울 철새이다. 들쥐와 같은 작은 포유류나 작은 새, 메뚜기 같은 곤충 등을사냥하며, 단독, 또는 암수가 짝을 지어 생활하고 보통 농경지,야산, 하천부지 등에서 발견된다. 몸 길이는 약 50cm 정도이고, 머리는 옅은 갈색 바탕에흑갈색의 세로무늬가 있으며 등은 갈색을 띠지만 깃털가장자리는 옅은색을 띤다. 꼬리에 뚜렷하지 않은 몇 개의 갈색띠를 갖고 있으며,옆구리는 흑갈색, 가슴과 배는 황백색이며 흑갈색의세로무늬가 있다. 비행시 날개 아래쪽은 엷은 갈색,날개깃의 끝은 검은색이며 익각.. 더보기
귀여운 맹금 쇠부엉이 귀여운 맹금 쇠부엉이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 부근 호조벌에서 촬영한 밤의요정쇠부엉이 모습이다, 쇠부엉이는 지난 가을 추수를 마치고잘라진 벼포기 짚 덤불 사이에 있었다, 쇠부엉이는 야행성 조류로 낮에는 거의 활동 하지않고잠을 자거나 쉬다가 어두워진 야심한 밤중에 주로 활동한다, 쇠부엉이는 천연기념물 제324-4호로 지정 보호받고 있으며겨울철새로 농경지와 개활지, 갈대밭 등지에서 서식하며몸크기는 36~39cm 정도로 암수 구별이 힘들고 몸 전체가엷은 갈색 또는 황갈색이다, 야생조류를 촬영 할때는 야생조류가 놀래거나 위험을 느끼지않도록 자극적인 행동이나 큰 소리를 내는 행동을 삼가하고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가급적 위장텐트를 치고 망원렌즈로촬영해야한다,  2025, 2, 16, 촬영, 더보기
유유시인 시집 '돌의 노래' 유유시인 시집  '돌의 노래' 제주에서 태어난것은 아니지만 제주도가 좋아 제주에 살면서 제주의 자연을사진으로 담고 시로 노래하고 있는 유유 유재진 시인이 요번에는 '돌의 노래'라는신간 시화집을 출간했다, 한 권의 시화집을 내는것도 쉽지 않은 일인데 정말못 말리는 불타는 뜨거운열정이요,  대단한 집념이 아닐수 없다, 내가 유유시인님을 알게 된것은 십여년도 더 된것 같은데 블로그를 통해서 였다,유시인은 도인들이 많이 도를 닦고 있다는 계룡산 기슭 봉황새우는 작은 마을에서태어나 공주사대와 한양대 대학원을 나와 교사로 후학들을 양성하다가 제주관광대에서 잠시 재직하다가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과 풍광, 정서에 반해 아예 제주에 눌러앉아 제주사람이 되었다, 유유시인은 단순히 시를 쓰는 일에 머물지 않고 끊임없는 실험정.. 더보기
고니와 석별하며 고니와 석별하며 3월이 시작 되면서 기온이 상승하고 남녁에는 홍매가꽃망울을 떠 뜨렸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 봄 꽃들이 다투어 피면겨울철새인 고니들과는 아쉽지만 이별의 순간이다, 11월 초순경 한반도를 찾아온 고니들은 보통 이듬해 2월말~3월초순떠나곤 한다, 그런데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기온이 상승해고니들이 일찍 저들의 고향으로 떠날것으로 보인다, 겨우내 정들었던 고니들이 떠나면 어쩌나하는 생각에'글룩'(GLUCK)의 오페라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3막 1장에 나오는아리아가 생각났다, 지옥에서 마침내 아내 '에우리디체' 를 만나긴 했으나 사랑이 식었다는이유로 돌아서는 아내를 보고 '오르페오' 가 아내를 잃은 슬픔에 부르는노래가 (Che faro senza Euridice) 이다,  만해 한용운은.. 더보기
팔당의 청둥오리 팔당의 청둥오리 팔당호는 겨울철새인 고니를 비롯해 청둥오리, 호사비오리, 황오리,흰죽지, 참수리, 흰꼬리수리, 말똥가리, 쇠백로, 왜가리, 물총새, 꿩,그 밖에도 수많은 자연의 생태계 동식물이 공존하며 살아가는 생명의보고이다, 청둥오리가 무리지어 수면위를 날아가는 군무 모습은 너무나 화려하고아름답다, 작은 깃들이 모여 거대한 화폭을 이루며 펼처지는 파노라마는언뜻보면 잘 그린 수채화 같기도하고 비단의 문양같이 보이기도 한다, 청둥오리는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오리류 중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종이며 겨울철새이자 텃새이다, 팔당호에서 관찰된 청둥오리 모습이다, 2025, 2, 22, 촬영,                                  종일 봄을 찾았어도 봄은 보지 못했네               짚.. 더보기
수리부엉이 포란 중 수리부엉이 포란 중 경기도의 한 야산 바위절벽에 수리부엉이가 포란중이다,수리부엉이는 야트막한 야산 바위절벽 움푹 들어간 곳에둥지를 틀고 포란중이다, 이제 곧 머지않아 새끼들이부화할것으로 보인다, 수리부엉이는 천연기념물 32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멸종위기동물 2급으로 분류된 희귀조류이다, 올빼미과에 속하는가장 큰 부엉이류로. 학명은 ‘Bubo bubo kiautschensis’이며,수리부엉이라는 이름은 대형 맹금류인 수리와 같이 "크고 매서운부엉이" 라는 의미에서 붙여졌다. 몸길이는 70cm 정도이고, 몸무게는 1.5~3kg이다. 머리 위에 있는2개의 귀 모양의 깃털인 우각(羽角, 이우[耳羽]라고도 한다)이 있고,크고 주황색인 눈, 다리와 발가락 끝까지 깃털이 나 있는 특징이 있다, 2025, 2, 16, .. 더보기
의정부 전주식당 의정부 전주식당 주 소 / 경기도 의정부시 청사로 47번길 15(금오동) 골드피아빌딩 203호전 화 / 031- 851- 5178메 뉴 / 한정식 의정부 전주식당은 의정부 시내 경기도청 북부청사 옆에 위치해 있다,흔히 한정식 이라하면 몇만원대의 값비싼 음식으로 생각하기 쉽지만의정부 전주식당은 비교적 착한 저렴한 금액으로 한정식의 진수를맛 볼수있는곳이다,  골드피아빌딩 2층에 위치해 있으며 주차는 건물 지하주차장에 주차하고식사하고나면 무료주차로 계산대에서 주차장 문을 열어준다, 한정식 답게 기본 20첩 반찬에 메인요리가 함께 나오는 가성비좋은 식당이다,주인장의 음식 솜씨가 좋아 반찬 어느것 하나 허투루 조리하지 않아 마치집 밥처럼 인공조미료를 치지않은 질리지 않는 음식을 즐길수 있다, 메뉴표에서 보듯 20.. 더보기
고니의 이별 연습 고니의 이별 연습 3월이 시작 되면서 기온이 상승하고 남녁에는 홍매가꽃망울을 떠 뜨렸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 봄 꽃들이 다투어 피면겨울철새인 고니들과는 아쉽지만 이별의 순간이다, 11월 초순경 한반도를 찾아온 고니들은 보통 이듬해 2월말~3월초순떠나곤 한다, 그런데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기온이 상승해고니들이 일찍 저들의 고향으로 떠날것으로 보인다, 겨우내 정들었던 고니들이 떠나면 어쩌나하는 생각에'글룩'(GLUCK)의 오페라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3막 1장에 나오는아리아가 생각났다, 지옥에서 마침내 아내 '에우리디체' 를 만나긴 했으나 사랑이 식었다는이유로 돌아서는 아내를 보고 '오르페오' 가 아내를 잃은 슬픔에 부르는노래가 (Che faro senza Euridice) 이다,  만해 한용운.. 더보기
참수리 사냥 -9 참수리 사냥 -9 참수리는 하늘의 제왕이라 할수있는 조류중에서는 최 상위급멸종위기로 분류된  맹금류이다, 팔당2리 성곽 건너편 검단산 중턱쯤에 있는 소나무 등지에 앉아서팔당호를 내려다보며 사냥할 대상 물고기를 살피다가 일단 사냥감이발견되면 갈지자(之)로 날개를 펄럭이며 매우 빠른속도로 송곳이꼿히듯 거의 수직으로 단숨에 낙하하여 갈고리같은 발톱으로 사냥감물고기를 낚아채 하늘로 떠오른다, 참수리의 시력이 얼마나 밝고멀리까지 볼수있는지를 가늠할수있는 대목이다, 참수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있는 매목 수리과에 속한조류이다, 몸길이 수컷 89cm, 암컷 102cm로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커다란 부리와 쐐기모양 꽁지가 특징이다, 어깨깃과 꽁지깃은 흰색을띠고있으며 머리꼭대기, 뒷머리, 목 옆의 깃은 다갈색.. 더보기
행주산성 산골쌈밥 행주산성 산골쌈밥 주 소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로 15번길 35전 화 / 031 - 970 - 0312 새 봄의 시작이라 할수 있는 3,1절, 점심시간에 행주산성산골쌈밥집을 찾아갔다, 행주산성 주변에는 유명한 음식점들이많이 있고 특히 저렴한 금액으로 푸짐한 국수맛을 볼수있는국수집들로 유명하다, 산골 쌈밥집은 김치장어, 불맛제육, 장어정식, 우럭정식 등 다양한종류의 쌈밥을 즐길수 있으며, 식당 바로 앞에 대형 주차장을 갖추고있어 주차 하기에 편리한 장점도 있다, 이 집의 대표 메뉴라 할수있는 장어쌈정식을 2인이 주문해 점심식사를했다, 정갈하게 차려진 기본반찬에 직접키운 상추, 배추 청정채등의신선한 야채로 가득한 쌈 채소와 솥밥과 간이 세지않게 양념이 되어있는장어구이, 시래기된장국이 상에 올라왔다, .. 더보기
참수리의 이별 연습 참수리의 이별 연습 지난 초겨울 팔당을 찾아와 겨을을 보낸 참수리가 새 봄을맞이하며  따듯한 봄의 춘정을 느끼고 이제 멀고 먼 비행을 하여저들의 고향으로 떠나려 이별연습을 하고있다, 팔당 성곽에서 참수리의 사냥을 기다리다 참수리가 강 건너편높은곳 나뭇가지에 앉아 있다가 자리이동으로 정자 부근 비교적야트막한 나뭇가지로 옮겨 앉는것을 보고 얼른 차를 몰고 팔당대교를건너 정자 부근 공터에 주차하고 참수리가 잠시 앉아 있다가날아가는 모습을 촬영했다, 만해 한용운은 이라는 시에서,,~"나는 향기로운 님의 말소리에 귀먹고 꽃다운 님의 얼굴에 눈 멀었습니다,사랑도 사람의 일이라 만날때에 미리 떠날것을 염려하고 경계하지 아니한것은 아니지만 이별은 뜻밖의 일이 되고 놀란 가슴은 새로운 슬픔에 터집니다," 이제 겨울동안.. 더보기
참수리 사냥 -8 참수리 사냥 -8 봄이 오고 기온이 올라 팔당을 찾아온 참수리가 떠날 날이다가왔다, 오늘 참수리 첫 사냥은 해뜬 직후인 이른시간 08;17에닭발집 앞에서 전광석화 같이 이루어젔다, 참수리는 하늘의제왕이라 할수있는 조류중에서는 최 상위급 멸종위기로 분류된 맹금류이다, 팔당2리 성곽 건너편 검단산 중턱쯤에 있는 소나무 등지에 앉아서팔당호를 내려다보며 사냥할 대상 물고기를 살피다가 일단 사냥감이발견되면 갈지자(之)로 날개를 펄럭이며 매우 빠른속도로 송곳이꼿히듯 거의 수직으로 단숨에 낙하하여 갈고리같은 발톱으로 사냥감물고기를 낚아채 하늘로 떠오른다, 참수리의 시력이 얼마나 밝고멀리까지 볼수있는지를 가늠할수있는 대목이다, 참수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있는 매목 수리과에 속한조류이다, 몸길이 수컷 89cm.. 더보기
눈 망울이 예쁜 소쩍새 눈 망울이 예쁜 소쩍새 2월에 소쩍새를 보기는 쉽지않은 일인데 행운이 있어 소쩍새를볼수있는 기회를 잡았다, 소쩍새는 고목 나무 구멍이 파인 둥지안에서 밖을 향하여 얼굴을 내밀고 눈을 지그시 감고 잠을 자고있었다, 몇 시간을 기다려 눈을 뜬 모습을 겨우 몇컷 담을수 있었다,자연 생태계의 보호를 위해 장소는 밝히지 않기로 한다, 소쩍새는 천연기념물 제324-6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있는조류이다, 소쩍새는 전국적으로 서식하는 여름철새이다, 보통4월 중순에 도래해 번식하고 10월 중순경까지 관찰되고 있다, 낮에는 숲 속의 나뭇가지위 또는 나무구멍에서 쉬며, 해가 지고어두워지면 활동을 시작한다, 야행성으로 주로 나방을 먹는다,둥지는 자연적으로 생긴 나무구멍, 딱따구리류의 옛 둥지 등을이용한다, 봄부터 여름까지 밤에.. 더보기
참수리 사냥 -7 참수리 사냥 -7 참수리는 하늘의 제왕이라 할수있는 조류중에서는 최 상위급멸종위기로 분류된  맹금류이다, 팔당2리 성곽 건너편 검단산 중턱쯤에 있는 소나무 등지에 앉아서팔당호를 내려다보며 사냥할 대상 물고기를 살피다가 일단 사냥감이발견되면 갈지자(之)로 날개를 펄럭이며 매우 빠른속도로 송곳이꼿히듯 거의 수직으로 단숨에 낙하하여 갈고리같은 발톱으로 사냥감물고기를 낚아채 하늘로 떠오른다, 참수리의 시력이 얼마나 밝고멀리까지 볼수있는지를 가늠할수있는 대목이다, 참수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있는 매목 수리과에 속한조류이다, 몸길이 수컷 89cm, 암컷 102cm로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커다란 부리와 쐐기모양 꽁지가 특징이다, 어깨깃과 꽁지깃은 흰색을띠고있으며 머리꼭대기, 뒷머리, 목 옆의 깃은 다갈색..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