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유적·문화재

오얏꽃필무렵 오얏꽃필무렵 4월을 맞이하며 자두꽃, 일명 오얏꽃이 활짝 꽃망울을 터뜨렸다. 오얏꽃(李花)은 벚꽃과는 다르며, 조선시대부터 이씨왕조는 귀한꽃으로 삼았다. 창덕궁 인정전 용마루에 오얏꽃 문양이 새겨저있고, 덕수궁 석조전 정면 상단에도 오얏꽃 문양이 있다. 신라말기 도선스님이.. 더보기
하조대 하조대 양양 하조대, 명승 제68호,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조준길 99,(하광정리) 하조대는 사진인 들에게는 일출의 명소로 너무나 유명한곳이다. 괴암괴석 사이로 돋아난 잘생긴 천년송 소나무 한그루가 한팔을 벌려 비스듬히 서있는 아래, 바다위로 떠오르는 일출을 담아보고 싶은 욕심을 .. 더보기
의상대와홍련암 의상대와 홍련암 <의상대>는 낙산사 경내 동해바다가 한눈아래 내다 보이는 전망좋은 곳에 위치한 시도 유형 문화재 제48호, 신라 문무왕16년(676)에 낙산사를 지은 의상대사를 기념하기 위해 1925년에 만든 정자이다. 원래 이곳은 의상이 낙산사를 지을당시 머무르면서 참선을 하던 곳.. 더보기
화석정 화석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 61호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율곡리 산100-1 화석정(花石亭)은 임진강가 깍아지른 절벽 임진강이 한눈아래 굽어보이는 언덕위에 세워진 정자로 조선 중기의 대학자 율곡 이이(1536~1584)가 제자들과 함께 시를 짖고 학문을 논하던 곳이다. 원래 고려말의 문신인 .. 더보기
반구정 반구정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산122 경기도 문화재자료 ; 제12호 반구정(伴鷗亭)은 고려말, 조선초기의 대표적인 정치가이며 청백리의 표상인 초명은 수로(壽老), 호는 방촌(庬村)이며 본관은 장수(長水)인 1363년(공민왕12) 개성 가조리에서 출생하신 황희(黃喜) 선생이 .. 더보기
용미리마애이불입상 용미리마애이불입상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혜음로 742-28 시대 ; 고려시대 (1840년재건) 용미리 마애이불입상은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의 용암사뒤 산언덕에 자리하고있다.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장지산 기슭, 고양시 벽제관에서 광탄으로 향하다 혜음령 고개를 넘으면 국가보물 제.. 더보기
정릉과흥천사 정릉과흥천사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정릉 ; 서울 성북구 능길 74 전화 ; 02 - 914 - 5133 대중교통 ; 전철 4호선 길음역 2출구 국민대방향 도보 20분 <정릉>은 조선왕조 이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 강씨>의 능침이다. 신덕왕후는 상산부원군 강윤성의 딸로 태어났으며 가문은 고려의 권.. 더보기
공세리성당의겨울 공세리성당의겨울 충남 아산시 인주면의 공세리성당, 고딕양식의 아담하고 아름다운 성당 입니다. 수령 350년이 넘는 국가지정 보호수가 3그루가 있습니다. 나뭇잎을 다떨구고 앙상한 가지만 남은 수백년 고목에서 공세리성당의 역사를 가늠해볼수 있습니다. 2014, 1, 15, 촬영, 더보기
광평대군묘역설경 광평대군묘역설경 광평대군 묘역은 서울근교에서 현존하는 왕손의 묘역중 오랜세월동안 원형그대로 가장 잘 유지 보존되어온곳으로 총면적 125,237평의 산에 광평대군의 묘소를 비롯한 태조의 아드님이신 무안대군 방번 묘소와 그종문 700여기의 묘소가 있으며 사당과 재실 종회당 종손.. 더보기
초지진 초지진 강화 길상면 초지리 624 사적 제 225 호 이곳은 해상으로부터 침입하는 외적을 막기위하여 조선효종 7년(1656)에 구축한 요새 입니다. 고종3년(1866) 9월 천주교 탄압을 구실로 침입한 프랑스 로즈 극동함대 및 고종8년(1871) 4월에 통상을 강요하며 내침한 미국 로저스 아세아함대, 고종12.. 더보기
사당설경 사당설경 어제 오후 시몬의 목덜미 보다도 희다는 함박눈이 송이송이 내렸습니다. 마침 양재동 부근을 지나고 있었는데 가끔씩 찾아가는 한묘역의 사당으로 달려갔습니다. 눈은 마치 간질병 환자처럼 제몸을 부르르떨며 소리없이 저높은 하늘 공중끝에서 내렸습니다. 이런날은 인적이 .. 더보기
용주사의11월 용주사의11월 설사 붉은빛 단풍이 마른 가지에 스멀스멀 남아있다 한들 누가 가을이라 말하랴, 이미 떠들석한 축제는 끝났고 장판은 파장 인것을, 이제 가을은 추억이요, 전설이다. 고향 다녀오는 길에 오산 용주사엘 들렀다. 용주사 입구 왕자같이 울창하던 숲의 싱그러움이 생각 나서였.. 더보기
보은 선병국가옥의 첫눈 보은 선병국 가옥의 첫눈 충청북도 보은군 장안면 개안길 10-2 전화 ; 043-543-7177 중요민속자료 제134호 충북 보은 선병국 가옥은 1919~1921년경 선정훈이 좋은 집터를 고르던중 삼가천 개울이 삼각주를 이룬 이곳에 터를잡고 당대 제일가는 목수들을 가려뽑아 99칸의 전통가옥을 지었는데 이곳.. 더보기
첫눈내리던날법주사 첫눈내리던날법주사 보은에 햔장답사 할일이 있어 갔다가 우연히 첫눈을 만나 일을 마치고 법주사 경내에서 첫눈의 정경을 담았습니다. 2013,11,18, 촬영, 더보기
광평대군묘역의11월 광평대군묘역의11월 광평대군 묘역은 서울근교에서 현존하는 왕손의 묘역중 오랜세월 그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있는 유일한 곳입니다. 총면적 125,237평의 산에 광평대군의 묘소를 비롯하여 태조 고황제의 7남 무안대군 방번, 광평대군의 외아들 영순군등 그종문 700여기의 묘소가있고 사.. 더보기
향원정의만추 향원정의만추 경복궁 향원정 주변의 단풍은 이미 거의 다지고 남은것도 색이 그리 곱지않고 처연히 떨어지고 있습니다. 가을이 짧은걸 알고 있었지만 그리 쉬이 떠나고 있습니다. 어쩌면 향원정의 올가을 단풍풍경은 끝자락 아닐까 합니다. 이제 흰눈이 덮힌 설경의 향원정을 보게될날.. 더보기
필경재의만추 필경재의만추 강남구 수서동 필경재의 만추입니다. 필경재는 서울에서 500년의 역사를 지닌 유일한 유서깊은 고택입니다. 필경재(必敬齋)란 옥호의 의미는 "반드시 공경해야 하는집" 이란 뜻을 갖이고 있습니다. 일제 강점기에는 중앙학교 현 중앙고등학교의 경기도 광주 분교로 사용 되.. 더보기
창경궁추경 창경궁추경 가을이 떠나려 가파른 계절의 모퉁이를 돌고 창경궁에도 오색빛 가을이 물들고 있습니다. 가을은 나그네 처럼 흘러가는 구름처럼 이제 이별 연습을하며 구두끈을 동여 맵니다. 2013,10, 30, 촬영, 더보기
향원정의가을 향원정의가을 가을이 깊어가고 경복궁 향원정 주변의 단풍이 선홍빛 붉은색으로 채색되고 있습니다. 가을이 색갈을 지니고 있다면 어떤 색일까 생각해 봅니다. 초콜릿 진함도 아닐것이며, 낙엽처럼 탁하지도 아니할것이며 아마도 눈물을 그렁그렁 매달고 금새 떨어질것 같은 후박나무.. 더보기
마곡사추경 마곡사추경 마곡사 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전화; 041-841-6221 아름다운 마곡사의 가을 풍경 입니다. 마곡사는 충남지역 불교의 중추적 역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643년에 신라의 고승 자장율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오며 마곡사라는 이름은 이 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