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유적·문화재 썸네일형 리스트형 광평대군묘역(겨울) 광평대군묘역(겨울) 광평대군이 SBS 사극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에 등장하면서 역사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흰눈이 하얗게 내린 다음날 묘역을 찾아 갔습니다. 광평대군은 세종대왕의 5남 으로 세종7년(1425) 5월3일 세종대왕과 소현왕후사이에서 5남으로 태어나 8세때에 광평대군.. 더보기 창경궁설경 창경궁설경 창경궁 전경을 설경으로 촬영하려면 근처 높은 빌딩 옥상에 올라야 하는데 쉽지가 않습니다. 창경궁 앞쪽 서울 치과대학 옥상에 어렵사리 올라 촬영을 했지요. 창경궁은 왕실의 웃어른을 편안히 모시기 위한 공간으로 지었으며, 명전전은 광해군이 창경궁을 중건할때.. 더보기 선릉성종대왕기신제향 선릉 성종대왕 기신제향 제향일시 ; 2012, 1, 17.(화) 12시 장소 ; 강남구 삼성동 선릉 (사적 제199호) 지하철 2호선 선릉역 8출구 주관 ; 선, 순릉 봉양회 선릉은 조선 9대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 윤씨의 능입니다. 성종은 경국대전을 집대성 하는등 태조이후 닦아온 모든체제와 기반을 완.. 더보기 너와집의추억 너와집의추억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의 너와집입니다. 삼척 대이리의 너와집은 중요민속문화재 22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동서로 길게뻗은 계곡의 서측 산등성이 아래에 자리잡은 너와집으로 현 소유주의 11대조가 병자호란때(1636) 이곳으로 피난 와서지은 것이라 합니다. 동남향을.. 더보기 방생법회 방생법회 방생은 잡은 물고기,새, 짐승등의 생물을 놓아주어 자유롭게 살수있도록 해주는것이지요. 불교도들이 살생이나 육식을 금하여 자비를 실천하도록 하는 뜻에서 햏하지요. 이의 취지나 인연은 "범망경", "금광명경"등에 전해저 옵니다. 신년 새해가 되면 종단별로 방생법.. 더보기 금산사미륵전 금산사미륵전 가을도 저문 늦가을 김제 금산사를 찾았습니다. 경내 미륵전 앞마당엔 수령이 오래된 감나무 한그루가 있는데 잎은 다떨어지고 조홍감만 주렁주렁 매달려 한껏 늦가을 정취를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금산사는 전라북도 김제군 금산면 금산리 모악산 남쪽 자락에 자.. 더보기 만추의길상사 만추의길상사 삼각산 길상사 ~~~~~ 11월로 접어면서 길상사에도 낙엽이 지고 늦가을 정취가 물씬했습니다. 붉게 경내주변을 물들였던 단풍도 거의다지고 법당과 명상실로 오르는 계곡가 오솔길엔 낙엽만 수북했습니다. 1987년 길상화 김영한 보살이 자신의 소유인 대원각터 7천여평.. 더보기 경복궁향원정 경복궁향원정 경복궁 향원정은 경복궁 중건당시 고종은 신무문 북쪽에 샘물과 정자, 누각을 갖춘 후원을 만들어 사용했고, 향원정은 경복궁 중건을 마친뒤 건청궁을 지으면서 새롭게 만든 왕실 전용의 휴식 공간 입니다. 향원정 뒷편으로는 인왕산이 수도서울을 굽어보고 있습니.. 더보기 경복궁의가을 경복궁의가을 가을이 깊어가면서 경복궁 향원정 연못 주변의 단풍이 곱게 물들고 은행잎은 샛노랗게 옷을 갈아입고 떠날채비를 하고있었습니다. 경복궁은 조선왕조를 대표하는 제일의 궁궐로서, 조선왕조를 세운 태조가 나라의 기틀을 새롭게 다지기위해 가장먼저 건립한 궁궐.. 더보기 만 추 만 추 가을이면 모차르트의 클라리넷협주곡 2 악장 아다지오 (Concerto for Clarinet and Orchestra in A major, K 622 ) 가 듣고싶어 지는계절입니다. 가을이깊어 만추가 되면서 온산하가 붉은 단풍으로 물들고 낙엽이 스산한 바람결에 하염없이 흩날리고 있습니다. 이곳은 세종대왕의 다섯째 아드님이신 광평대군 .. 더보기 보광사 보광사 보광사는 서울 강북구 우이동76-19번지 삼각산 자락에 위치한 재단법인 선학원 소속 사찰입니다. 덕성여자대학교 건너편엔 울창한 소나무숲으로 이루어진 우이동 솔밭공원이 있고 공원 좌측편길을 따라 한10여분 오르면 좌측으로는 419국립묘지가 보이고 곧장 오르면 삼각산 영봉 바로아래에 .. 더보기 전등사 전등사 전등사는 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에 있습니다. 전등사의 창건설은 고구려 소수림왕 2 년 아도화상이 신라의 일선군(지금의 경북 선산)에 불교를 전파하기전 이곳 강화 전등사의개산조가 되었다는 유서깊은 설이 있습니다. 당시의 절이름은 진종사였다 합니다. 현재 .. 더보기 내소사 내소사 내소사는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에 있습니다. 내소사는 백제 무왕 34년(633)에 혜구두타가 소래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고, 창건 당시에는 대소래사와, 소소래사가 있었는데 지금의 내소사는 예전의 소소래사라 합니다. 조선 인조11년 (1633)에 청민선사가 중건했고, 고종때 관해선사가 .. 더보기 보문사 보문사 마애석불좌상 보문사는 경기도 강화 외포 선착장에서 배를 타고 5분쯤 위치에 있는 석모도에 있습니다. 주소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매음리 산 293 번지, 인천시 유형문화재 제 29 호. 보문사 대웅전을끼고 가파른 돌계단을 한참을 올라 땀이 이마에 송글송글 맺힐때쯤이면 뒤로는 거대한 .. 더보기 정릉 신덕고왕후강씨기신제 신덕고왕후강씨기신제 서울 성북구 정릉은 조선 제1대 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의능입니다. 정릉 에서는 매년 양 9, 23, 제향을 전통방식 그대로 올리고 있습니다. 금년제향은 2011, 9, 23, 정오 정릉에서 문화재청이 주최하고,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정릉봉양회 주관, 세종왕자 광평대군파 종회(이사장 이.. 더보기 정 릉 정 릉 정릉은 서울 성북구 정릉에 있으며, 정릉은 조선 제1대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능입니다. 신덕왕후는 상산 부원군 강윤성의 딸로 태조의 계비입니다. 신덕왕후의 가문은 고려의 권문세가로 태조 이성계가 중앙 정계에 진출하여 정치 영역을 넓혀 조선을 건국하는데 중요한 역활을 담당하였습.. 더보기 광평대군묘역의구름좋은날 광평대군묘역의구름좋은날 9월이 되면서 하늘이 더욱 푸르고 높아진듯 합니다. 요즈음 하늘의 구름이 너무 아름다워 하늘에 둥둥떠가는 구름을 보는 재미로 즐겁기만 합니다. 요며칠 좋은 하늘의 구름을 무심한 마음으로 바라보는것이 일상의 커다란 즐거움이 되었습니다. 인생도 저구름처럼 흘러 .. 더보기 종회당의구름풍경 종회당 의구름풍경 구름은~ 잠시도 멈춤없이 생멸을 거듭하며 아름다운 형상으로 변화무쌍하게 변화를 거듭합니다. 구름의~ 변하는 모습이 좋와 구름 좋은날~은 항상 하늘의 구름을 바라보며 나도 모르게 흥분이 되곤 합니다. 구름~ 하니까 학창시절 읽었던 소설이 생각납니다. 이병주 의 역사소설 " .. 더보기 도담삼봉 도담삼봉 명승 제44 호 ; 충북 단양군 단양읍 도담리 195 번지 도담 삼봉은 절경이 특이하고 아름다워 단양팔경중 으뜸으로 손꼽히며 단양군수를 지낸 퇴계 이황을 비롯하여, 황준량, 홍이상, 김정희, 김홍도, 이방운 등이 많은 시와 그림을 남긴 곳으로 유명합니다, 이곳에는 조선시대 개국공신인 정도.. 더보기 광평대군묘역(여름)-2 광평대군 묘역은 서울 수서동에 있으며 여기 이사진은 2011,7,18, 일 장마가 걷히고 구름 좋은날 촬영 하였습니다. 이묘역 일원은 서울근교에서 현존하는 왕손의 묘역중 오랜세월동안 원형그대로 가장잘 유지보존되어 있는 곳으로 125000 평의 야산에 세종대왕의 5남이신 광평대군의 묘소를 .. 더보기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