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유적·문화재

광평대군묘역(여름)-1 광평대군 1425 (세종7) ~1444(세종 26) 광평대군은 세종대왕의 5 남으로 휘는 여, 자는 환지, 호는 명성당, 시호는 장의공 입니다. 1432 년(세종 14년) 춘추 8 세때 광평대군의 봉작을 받으셨으며, 1436 년(세종 18년) 춘추 12세때 성균관에 입학하여 뛰어난 재질로 효경과 소학을 필독하였으며 사서 .. 더보기
용주사 용주사 경기도 화성군 태안읍 송산리에 있는 용주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입니다. 1790년 (조선 정조14) 사도세자의 능인 현륭원 의 능사로 활용하기위해 보경사일이 팔도 도화주가 되어 철학등과 함께 팔도 관민의 시전 8 만 7 천여냥을 거두어 갈양사 옜터에 145칸의 건물을 세.. 더보기
와우정사 - 2 와우정사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있는 ~누워계신 석가모니 부처님~ 흔히 "와불" 이라 부르는 부처님이계신 사찰입니다.. 마침 부처님 오신날 걸어두었던 연등도 고운빛으로 걸려있고 영산홍이 곱게피어 경내가 매우 아름다웠습니다 더보기
와우정사 - 1 와우정사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있는 사찰입니다.. 와우정사에는 국내최대의 황금범종 ~통일의종~과, 화랑도가 추구한 미륵보살님을 청동으로 조성한~미륵보살 반가사유상~ 인도네시아에서 인도스님이 보내주신 통향나무로 조성한 해탈번뇌를 소멸하신부처님 ~누워계신 석가모니 .. 더보기
연 등 연등은 마음에 불을 밝히는 마음의 등불입니다 어리석고 우매한 중생들 마음 구석구석을 부처님의 자비의 연등으로 비추는 것이지요 부처님 오신날을 맞이하여 고운 연등을 걸었습니다.. 더보기
조선왕가 염근당 조선왕가 염근당은 서울 종로구 명륜동에 있던것을 현위치인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고문리420 - 1 로 옮겨 지은것입니다 고종황제의 영손으로 조선조 역대왕의 종묘제례를 관장하였던 황족 이근 의 고택입니다.. 1800년대에 창건 되었고 1935년에 99칸으로 중수된 황실가의 전통가옥이지요.. 2008년 6월 15.. 더보기
사충문 충북 진천읍 사석리 안동김씨 사충문 충북 진천에 있는 사충문과 느티나무 입니다 새봄을 맞이하여 느티나무에 연두빛 잎새가 돋아나 생명의 기운이 느껴지고 사충문이 더욱 아름답게 보입니다 이 정문은 중신 가선대부 김천주와 그의 아우 천장, 아들 성추, 조카 성옥등 4명의 충의를 기리기 위하여 .. 더보기
광평대군묘역(봄) 광평대군 묘역일원은 서울근교에서 현존하는 왕손의 묘역중 오랜세월동안 원형을 그대로 가장 잘 유지 보존되어있는 곳으로 총면적 125237 평의 야산에 세종대왕의 5남인 광평대군의 묘소를 비롯한 그아드님인 영순군과 영순군의 아드님이신 남천군, 청안군, 회원군 과 태조의 아드님이.. 더보기
도선사 서울 삼각산 도선사에서는 부처님 오신날을 맞이하여 연등을 곱게달고 행사준비가 한창이였습니다 연등에 제대로 점등을 하지않아 등의조명이 화려하진 않았으나 연등이 곱고 예뻤습니다 부처님 오신날을 맞이하여 부처님의 자비와 가르침을 생각하며 나자신을 성찰해 보려합니다 더보기
필경재(봄) 필경재는 ~ 강남구 수서동에있는 유서깊은 고택입니다. 현재는 궁중요리 전문음식점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문화관광부로부터 1987년 전통건조물 제1호로 지정된 ~필경재~는 세종대왕의5 남인 광평대군의 후손인 정안 부정공 이천수가 건립하여 " 반드시 웃어른을 공경할줄아는 자세를 지.. 더보기
보탑사 보탑사는 충북 진천군 진천읍 보련산 자락의 연꽃골에 있습니다.. 특히 이 연꽃골이 유명한것은 우리나라에 단 3기뿐인 비문을 새기지않은 " 백비 " 보물 제404호 가있기때문입니다.. 보탑사의 3층 목탑은 신라 황룡사 9층탑 이후 처음으로 3층까지 오를수있게 목조로 건축되었으며 보탑의 높이는 32.72m, .. 더보기
낙산사 의상대 의 상 대 시도유형문화재 ; 48 호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산 5 -2 소재 의상대는 신라 문무왕 16년 (676년)에 낙산사를 지은 의상대사를 기념하기 위해 1925년에 만든 정자입니다.. 원래 이곳은 의상이 낙산사를 지을당시 머무르면서 참선 하였던 곳으로 옜부터 의상대라 불렀다하지요.. 6각으로 만들.. 더보기
화계사의봄 화계사는 강북구 삼각산 기슭에있는 유서깊은 사찰입니다. 숭산큰스님의 설법을 듣고 하버드의 수재 현각스님이 한때 머물었던 절로 유명하지요 부처님 오신날을 앞두고 연등달기등 부처님오신날 행사 준비가 한창이였습니다 마침 활짝핀 벚꽃과 오색연등이 어우러저 경내는 아름답기만했습니다 .. 더보기
제 향 전주이씨 광평대군파 종회 주관으로 전주이씨 광평대군파의 삼선조이신 무안대군, 광평대군, 영순군, 삼선조 제향이 2011. 4. 17.(매년 음3,15일) 강남구 수서동 광수산 전주이씨 광평대군파 묘역(서울시유형문화재 제48호)에서 종친및 가족등 700여명이 참석한 가온데 엄숙하고 성대하게 봉행되었습니다.... 더보기
화계사 대웅전 화계사 대웅전 서울 강북구 수유동 삼각산 기슭에 있으며 한때 보덕암이라 불렀습니다 고려 광종때( 949-975) 법인 탄문이 삼각산 부허동에 창건하여 보덕암이라 했으며 1522년 조선 중종17년 선사 신월이 서평군 이공과 협의해 화계동으로 옮기고 법당 3동과요사 50칸을 지어화계사라 고처 불렀습니다.. 1.. 더보기
전의향교 전의향교 (충남 연기군 전의면 읍내리 소재) 충청남도 기념물 제 124호 향교는 조선시대 관립교육기관 으로 고을마다 세워젖습니다. 이향교는 1416년 조선 태종16년에 전의면 동교리에 처음세워젖으나 숙종8년 1682년 현위치로 옮겨 지었습니다. 건물은 공자를 위시한 중국의 성현과 우리나라 역대 성현.. 더보기
광평대군묘역(겨울) 광평대군묘역의설경 광평대군 묘역은 서울 수서동에있는 묘역으로 현존하는 왕손의 묘역중 원형이 가장잘 유지 보존된 묘역입니다. 이곳에는 조선조 세종의 다섯째 아드님이신 광평대군의 묘와 그의 외아들 영순군과 태조의 아드님이신 무안대군 방번과 그종손 700 여기의 묘가 있습니.. 더보기
필경재(가을) 필경재는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유서깊은 고택입니다.. 고택 필경재는 1987년 문화관광부 로부터 전통건조물 제 1호로 지정되었고 세종대왕의5남인 광평대군의 종손인 정안부정공 이천수가 건립하여 - 반드시 웃어른을 공경할줄아는 자세를 지니고 살라 - 는뜻의 필경재 란옥호를 갖게되었습니다.. 원.. 더보기
마곡사의가을 - 2 마곡사의 아름다운 단풍있어 올가을은 매우행복 했습니다.. 마곡사를 끼고 흐르는 물소리있어 올가을은 매우 정감 있었습니다.. 마곡사의 아름다운 풍경있어 가을이또기다려집니다... 더보기
마곡사의가을 - 1 충남공주 사곡면의 마곡사 진흙기와 담장과 아름다운 단풍......... 해탈문 마곡사 종루와 전경 천왕문 영산정 매화당 명부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