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유적·문화재

필경재(가을)

 

 

                                                   

                                                   필경재는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유서깊은 고택입니다..

                                  고택 필경재는 1987년 문화관광부 로부터 전통건조물 제 1호로 지정되었고

                                  세종대왕의5남인 광평대군의 종손인 정안부정공 이천수가 건립하여

                                  -  반드시 웃어른을 공경할줄아는 자세를 지니고 살라 -

                                  는뜻의 필경재 란옥호를 갖게되었습니다..

 

                                  원래는 아흔아홉칸의 거택이었으나

                                  오랜세월 풍우를 거치면서 많은 부분이 유실또는 훼손되어

                                  안채와 사랑채만 남은것을 1994년 해체복원하여

                                  1999년 한국전통 궁중음식점으로 새단장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후원에 당당하게 자리잡고있는 신도비는

                                  녹천 이유 선생 (1645 - 1721 )의 업적을 기리고 있으며

                                  이유는 조선조 숙종때 한성판윤을 거처 영의정을 지낸 인물로

                                  조정의 온갖 반대의견을 무릅쓰고

 

                                  북한 산성을 축조하여 수도방위를 굳건히한 인물입니다..

                                  노원구 창동부근의 전철역 녹천역은

                                  바로 이유선생의 호를 따명명한 지명입니다..

                                  또한 필경재는 조선조에 우의정 완남부원군 이후원 선생과

                                  우의정을지낸 이지연 선생이 거처했던 유서깊고 역사적인 곳이기도 합니다..

 

--------------------------------------------------------------------------------------------------------------------------------------------

 

                 이유 선생은....1645(인조 23) - 1721(경종1) 조선문신, 자는 자우 ,호는 녹천,본관은 전주,광평대군 여의 후손, 군수 중휘의 아들,

                                 1668년(현종9)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정언, 지평,설서, 교리,응교 등을 지냈고 1681년(숙종7) 설혼의 아버지

                                          수침에게 시호를 내릴것을 청하여 실현 되었습니다.

 

                                1683년 왕대비가 죽자 고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와서 승지, 경상도 관찰사,전라도 관찰사,강양도 관찰사등을 지냈습니다..

                                                1689년(숙종15)기사환국때 대사간으로서 송시열을 탄핵하지않아 전직 되었고 ,

                                                  1694년 갑술옥사로 평안도 관찰사가 되었습니다..

 

                                   그후 예조참판, 한성부판윤, 병조 판서등을 지냈고 1703년(숙종 29)  이조판서로서 중앙관제의 일부를 개혁하게 했습니다..

                                   이듬해 우의정이되어 백골징포의폐를 시정했고 ,1705년 왕에게서 재상 천거의 명을 받아 조태채를 천거,호조판서가 되게 했으나

                                                  이는 불공평했다는 탄핵을 받아 전직 되었습니다..

 

                         1707년에 좌의정에 승진되고 ,1709년 약방도제조로서 사형수 이식의 옥중에서의 상변 사건을 광해군때의 박응서의 사건에 비유했다가.

                                                   다시 전직되었습니다..

                                                     1712년 영의정 , 1718년 영중추부사,가되고 기로소에 들어갔습니다..

                                                                 경종의 묘정에배향, 시호는 혜정,입니다....

 

                                                                                                       참고문헌  한국의 인명대사전 ( 신구문화사 )  693 - 694 쪽

 

 

 

 

 

 

 

                                                                           후원 중앙에 녹천 이유 선생의 신도비가 보입니다.

 

 

 

 

 

 

 

 

 

 

 

 

 

 

 

 

 

 

 

 

 

 

 

 

 

 

 

                                                                                   필경재 뒷편에있는 녹천공 이유 선생의 묘

 

 

                                                                                        녹천공 이유 선생 묘소앞에있는 비문

'종교유적·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의향교  (0) 2011.03.22
광평대군묘역(겨울)  (0) 2011.01.20
마곡사의가을 - 2  (0) 2010.11.14
마곡사의가을 - 1  (0) 2010.11.14
기 원  (0) 2010.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