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동물

파주 임진강 독수리 파주 임진강 독수리  파주 임진강변 독수리식당에서 촬영한 독수리 모습이다,이곳 파주 독수리식당에서는 통상 화, 목, 토요일 등,일주일에 3회 오전 09;30~10;00시경 육류 부산물을 먹이로살포하고 있는데 임진강 원근에 있는 수백마리의 독수리와약 10여 마리의 흰꼬리수리가 허기진 배를 채우려 이곳으로날아든다, 독수리식당은 겨울시즌에만 "임진강 생태보존회 사회적협동조합"에서 운영하고있다, 겨우내 독수리 등, 철새의 먹이로 살포하는육류부산물을 구입하는데 드는 재정적 부담이 상당할것으로생각하며 탐조객들이 자발적으로 약간의 적은 성금을 성의껏후원해주면 좋을것이라 생각한다,  수리류는 전 세계에서 218종이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는21종이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흰꼬리수리· 참수리· 독수리·검독수리 등 4종.. 더보기
철원 두루미 가족 철원 두루미 가족 철원 철새조망 컨테이너에 도착 하던날 새벽 기온 영하 15도C,습도 90%로 강 추위속에 개울건너 숲에는 하얀 상고대 눈 꽃이피어 있었다, 철원 철새조망 컨테이너 앞에는 개천이 흐르고 개천 하상을 두둑하게성토를 하여 두루미들이 쉴수있는 공간을 조성하고 그곳에 정기적으로먹이를 살포해 두루미를 이곳으로 유도해 조망콘테이너에서 두루미 등,겨울 철새들 촬영을 하거나 탐조를 하도록 하고 있다, 민통선 북방지역은 오랫동안 사람들의 출입이 통제되었고 환경오염이거의없는 청정지역이기 때문에 텃새, 철새 등의 번식지가 되고 철새의이동경로가 되고 있으며, 특히 철원평야는 매년 수백 마리의 두루미가찾아와서 겨울을 나고 이듬해 3월경 다시 북상하는 우리나라 최대 두루미도래지이다. 세계적으로 희귀조류인 두루미는.. 더보기
파주 임진강 흰꼬리수리 -3 파주 임진강 흰꼬리수리 -3 파주 임진강변 독수리식당에서 촬영한 흰꼬리수리 비행모습이다, 이곳 파주 독수리식당에서는 통상 화, 목, 토요일 등,일주일에 3회 오전 09;30~10;00시경 육류 부산물을 먹이로살포하고 있는데 임진강 원근에 있는 수백마리의 독수리와약 10여 마리의 흰꼬리수리가 허기진 배를 채우려 이곳으로날아든다, 독수리식당은 겨울시즌에만 "임진강 생태보존회 사회적협동조합"에서 운영하고있다, 겨우내 독수리 등, 철새의 먹이로 살포하는육류부산물을 구입하는데 드는 재정적 부담이 상당할것으로생각하며 탐조객들이 자발적으로 약간의 적은 성금을 성의껏후원해주면 좋을것이라 생각한다,  수리류는 전 세계에서 218종이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는21종이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흰꼬리수리· 참수리· 독수리·.. 더보기
참수리 -1 참수리 -1 새해 출사로 참수리를 담기 위해 설날에 이어 둘째날도팔당 성곽에 이른시간 도착하여 참수리의 사냥을 기다렸다, 첫번째 사냥은 넘 이른시간 고추밭쪽 좀 먼곳에서 사냥을 하여사냥샷을 촬영하기는 했지만 사진으로는 해상력이 떨어저사진 답지 못하다, 두번째 사냥은 13, 23,경 성곽과 불닭집 중간 지점에서 이루어젔는데 사냥장면은 놓치고 사냥후 수면위를 낮게 날아 하늘에서한바퀴 사냥을 자축하는 당당한 자태로 비행하는 모습 날샷만몇컷 담았다,  참수리는 흰꼬리수리속 조류중에서 가장적은 개체수로 존재하는희귀조류이다, 참수리는 암컷기준 몸길이 81~105cm, 날개길이1,95~2,5m, 체중 6~9kg 정도이며 수컷은 암컷의  2/3크기이다, 흔히 Eagle 이라고 불리는 수리류중 가장 크고 무거운 종이다,.. 더보기
참수리 -2 참수리 -2 팔당에서 참수리를 촬영하는 일은 지루한 기다림의 연속이지만묘한 매력과 성취감 그리고 잠시도 헛눈을 팔수없는 긴장감을 준다, 언제 참수리가 산에서 내려와 전광석화 같이 빠른 순간에 사냥을할런지는 참수리 자신만이 알뿐, 누구도 알수없는 일이다, 그래서항상 매의 눈으로 긴장하고 있어야한다, 오늘은 08;20, 해가 동편 능선에 막 떠오른 이른 시간에 성곽과불닭집 중간지점에서 사냥을 했다, 수면은 명경지수처럼 고요하고맑아 반영은 좋았으나 너무 이른 시간이어서 빛이 좋지 않았고성곽앞에서 좀 먼거리에 역광 방향이었다, 또렷한 사진을 얻지 못해 아쉽지만 반영은 좋았다,오늘은 절반은 성공, 절반은 실패작이다,그래도 괜찮다, 내일이 기다리고 있으니까,, 2025, 1, 3, 촬영, 더보기
파주 임진강 흰꼬리수리 -2 파주 임진강 흰꼬리수리 -2 파주 임진강변 독수리식당에서 촬영한 흰꼬리수리 비행모습이다, 이곳 파주 독수리식당에서는 통상 화, 목, 토요일 등,일주일에 3회 오전 09;30~10;00시경 육류 부산물을 먹이로살포하고 있는데 임진강 원근에 있는 수백마리의 독수리와약 10여 마리의 흰꼬리수리가 허기진 배를 채우려 이곳으로날아든다, 독수리식당은 겨울시즌에만 "임진강 생태보존회 사회적협동조합"에서 운영하고있다, 겨우내 독수리 등, 철새의 먹이로 살포하는육류부산물을 구입하는데 드는 재정적 부담이 상당할것으로생각하며 탐조객들이 자발적으로 약간의 적은 성금을 성의껏후원해주면 좋을것이라 생각한다,  수리류는 전 세계에서 218종이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는21종이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흰꼬리수리· 참수리· 독수리·.. 더보기
파주 임진강 흰꼬리수리 -1 파주 임진강 흰꼬리수리 -1 파주 임진강변 독수리식당에서 촬영한 흰꼬리수리 비행모습이다, 이곳 파주 독수리식당에서는 통상 화, 목, 토요일 등,일주일에 3회 오전 09;30~10;00시경 육류 부산물을 먹이로살포하고 있는데 임진강 원근에 있는 수백마리의 독수리와약 10여 마리의 흰꼬리수리가 허기진 배를 채우려 이곳으로날아든다, 독수리식당은 겨울시즌에만 "임진강 생태보존회 사회적협동조합"에서 운영하고있다, 겨우내 독수리 등, 철새의 먹이로 살포하는육류부산물을 구입하는데 드는 재정적 부담이 상당할것으로생각하며 탐조객들이 자발적으로 약간의 적은 성금을 성의껏후원해주면 좋을것이라 생각한다,  수리류는 전 세계에서 218종이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는21종이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흰꼬리수리· 참수리· 독수리·.. 더보기
황조롱이, 동박새, 팔당일출 황조롱이, 동박새, 팔당일출 팔당에 이른시간 도착하여 어둠을 멸하고 떠오르는일출도 보고 기다리던 참수리의 사냥모습은 보지 못하고대신 동박새와 황조롱이를 만났다, 어느덧 2024년도 저물어 가고 있습니다,지난 한해 제 블을 찾아주신 불친님들에게 감사 인사 드립니다,2025년 을사년 새해에 복 많이 받으시고 항상 건강 하시기 바랍니다, 2024, 12, 26, 촬영,    황조롱이           동박새                                   팔당호 일출 더보기
두루미 가족 두루미 가족 철원 철새조망 컨테이너 앞에는 개천이 흐르고 개천 하상을 두둑하게성토를 하여 두루미들이 쉴수있는 공간을 조성하고 그곳에 정기적으로먹이를 살포해 두루미를 이곳으로 유도해 조망콘테이너에서 두루미 등,겨울 철새들 촬영을 하거나 탐조를 하도록 하고 있다, 민통선 북방지역은 오랫동안 사람들의 출입이 통제되었고 환경오염이거의없는 청정지역이기 때문에 텃새, 철새 등의 번식지가 되고 철새의이동경로가 되고 있으며, 특히 철원평야는 매년 수백 마리의 두루미가찾아와서 겨울을 나고 이듬해 3월경 다시 북상하는 우리나라 최대 두루미도래지이다. 세계적으로 희귀조류인 두루미는 머리 위가 붉은 일명 단정학(천연기념물 제202호), 잿빛 모양인 재두루미(천연기념물 제203호),흑두루미(천연기념물 제228호)등 세 종류가 .. 더보기
눈가에 수를 놓은 동박새 눈가에 수를 놓은 동박새 동박새의 옛이름은 '수안'(繡眼)이다,눈가에 수를 놓았다는 뜻이다,동박새의 눈 주위를 자세히 살펴보면 눈 테두리에 마치흰실로 수놓은 것처럼 동그란 무늬가 보여 그런 이름이 붙혀졌다한다, 중국 송나라 휘종황제의 '매화수안도'(梅花繡眼圖)라는 화조화 그림이있는데 그 그림에는 동박새 눈가의 흰테두리는 점을 똑똑 찍어 놓았는데정말 수를 놓은것 처럼 동박새의 눈 테두리를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동박새는 한국과 일본, 동남아시아에서 서식하는 참새목 동박새과의새의 일종이다, 몸 길이는 11,5cm이며 박새보다 약간 작은새이다,몸의 윗면은 노란빛을 띤 녹색이고 아렛면은 흰색이다, 눈에는 하얀띠가 둘러저 있고 새 중에서는 작은편이다, 한국에서는 일년내내 지내는텃새이다,  2024, 12, 27.. 더보기
철원 평야의 두루미 철원 평야의 두루미 성탄절 이브 새벽 07;30경 철원평야 민통선 부근 철새조망 컨테이너에 도착했다, 아직 어둠에 잠긴 새벽이어서 차안에서 음악을 들으며날이 밝기를 기다려 08;00 철새조망 컨테이너에 입실했다, 이날 새벽 철원기온 영하 15도C, 습도 90%로 강 추위속에 개울건너숲에는 하얀 상고대 눈꽃이 피어 있었다, 철원 철새조망 컨테이너 앞에는 개천이 흐르고 개천 하상을 두둑하게성토를 하여 두루미들이 쉴수있는 공간을 조성하고 그곳에 정기적으로먹이를 살포해 두루미를 이곳으로 유도해 조망콘테이너에서 두루미 등,겨울 철새들 촬영을 하거나 탐조를 하도록 하고 있다, 민통선 북방지역은 오랫동안 사람들의 출입이 통제되었고 환경오염이거의없는 청정지역이기 때문에 텃새, 철새 등의 번식지가 되고 철새의이동경로가 .. 더보기
단정학 단정학 성탄절 이브에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민통선 부근 철새조망 컨테이너에서 촬영한 단정학 모습이다,  철원 철새조망 컨테이너 앞에는 개천이 흐르고 개천 하상을 두둑하게성토를 하여 두루미들이 쉴수있는 공간을 조성하고 그곳에 정기적으로먹이를 살포해 두루미를 이곳으로 유도해 조망콘테이너에서 두루미 등,겨울 철새들 촬영을 하거나 탐조를 하도록 하고 있다, 강원도 철원군 민간인통제선(DMZ)내의 철원평야는 사람의 손이 거의닿지않아 자연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있는 청정지역으로 두루미, 고니,기러기, 독수리 등 겨울철새가 찾아와서 겨울을 난다, 민통선 북방지역은 오랫동안 사람들의 출입이 통제되었고 환경오염이거의없는 청정지역이기 때문에 텃새, 철새 등의 번식지가 되고 철새의이동경로가 되고 있으며, 특히 철원평야는 매년.. 더보기
흰꼬리수리의 사냥 흰꼬리수리의 사냥 철원 이길리 콘테이너 두루미 관찰소에서 두루미를 촬영하던중건너편 산에서 날아온듯한 흰꼬리수리 성조를 만났다, 흰꼬리수리는 개울 상공을 한 두바퀴 선회비행하더니 몸에 부상을입은듯 몸상태가 성치않아 보이는 새매유조를 발견하고 사냥을 하였다,순간 근처에 있던 까마귀 몇 마리가 접근하여 사냥 방해를 놓는 바람에사냥한 노획물을 발톱으로 제대로 웅켜잡지 못한채 자리를 떴다, 흰꼬리수리가 두루미들이 모여있는 바로 앞 개울에 내려앉자 두루미들이일제히 목을 고추세우고 특유의 경계음을 내며 흰꼬리 수리쪽을 응시하며경계태세에 돌입하였다, 그러나 서로 먼저 공격할 의사는 없어 보였다,잠시후 흰꼬리수리 유조 3마리가 어디선가 나타나 흰꼬리수리 성조와합류하여 개울가에 내려 앉았다, 2024, 12, 24, 촬영, 더보기
단정학의 학춤 단정학의 학춤 Merry Christmas,성탄절 이브에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민통선 부근 철새조망 컨테이너에서 촬영한 단정학 모습이다,  크리스마스하면 맨 먼저 생각나는것은"오 헨리" 의 단편소설 (The Gift of the Magi), 이다긴 머리를 잘라 크리스마스 선물로 남편의 시계줄을 산 아내와,아끼던 시계를 팔아 사랑하는 아내의 크리스마스 선물로머리핀을 산 가난한 부부 이야기.. 철원 철새조망 컨테이너 앞에는 개천이 흐르고 개천 하상을 두둑하게성토를 하여 두루미들이 쉴수있는 공간을 조성하고 그곳에 정기적으로먹이를 살포해 두루미를 이곳으로 유도해 조망콘테이너에서 두루미 등,겨울 철새들 촬영을 하거나 탐조를 하도록 하고 있다, 강원도 철원군 민간인통제선(DMZ)내의 철원평야는 사람의 손이 거의닿.. 더보기
철원평야 두루미 철원평야 두루미 겨울철새인 두루미를 촬영하려 DMZ 인근 철원군 근남면 양지리일원과 철새조망컨테이너 등지에 다녀 왔다, 현지 새벽 기온이영하 4도C 쌀쌀한 날씨였다, 철새조망컨테이너에서 약 2시간 있었는데 컨테이너 입장료는 받지않고 있었지만 조망 컨테이너 앞에는 두루미가 없었다, 다만 멀리산밑에 재두루미 30여마리 정도가 있었고 좀 멀리 개울에 단정학4마리 한가족이 관측되었고 이따금 재두루미와 단정학 몇 마리가날아 다니는것이 보였다, 철새조망컨테이너는 오전에는 완전 역광빛 이어서 날아 다니는두루미 촬영 하기에 빛이 너무 좋지 않았다, 그래서 양지리, 이길리,논두렁길을 기웃거리며 두루미를 탐조했으나 두루미가 아직 많이오지 않아 개체수가 적어 사진촬영상 시기가 좀 이른것으로 생각되었다,12월 5일은 넘어야 .. 더보기
동박새 동박새 한국과 일본, 동남아시아에서 서식하는 참새목 동박새과의새의 일종이다, 몸 길이는 11,5cm이며 박새보다 약간 작은새이다, 몸의 윗면은노란빛을 띤 녹색이고 아렛면은 흰색이다, 눈에는 하얀 띠가둘러저 있고 새 중에서는 작은편이다, 한국에서는 일년내내지내는 텃새이다,  2024, 12, 22, 촬영, 더보기
참수리 사냥 -2 참수리 사냥 -2 참수리는 흰꼬리수리속 조류중에서 가장적은 개체수로존재하는 희귀조류이다, 참수리는 암컷기준 몸길이 81~105cm,날개길이 1,95~2,5m, 체중 6~9kg 정도이며 수컷은 암컷의 2/3크기이다, 흔히 Eagle 이라고 불리는 수리류중 가장 크고 무거운 종이다,한국에서는 겨울철에 볼수있는 철새로 주로 해안이나 강 하구에서식한다, 한국에서 볼수있는 맹금류중 독수리 다음으로 큰 종이다,천연기념물 제 243호로 지정 보호받고 있으며 멸종위기 야생동물1급이다, 요즈음 팔당에는 참수리의 사냥모습을 촬영하려 전국에서 모여든조류사진가 30-50여명이 매일 어둠내린 이른새벽부터 진을치고날이 밝기를 기다린다, 참수리는 하루에 1번 또는 많게는 2번 정도 사냥을하고 통상나무가지에 앉아서 휴식을 취하거나 .. 더보기
겨울 손님 팔당 고니 -5 겨울 손님 팔당 고니 -5 팔당에서 촬영한 고니의 비상 모습이다,'고니'는 '백조' 라고도 부르며 두루미와 함께 대표적인겨울 철새로 수도권에서는 한강의 팔당, 양수리, 경안천 부근그리고 멀리로는 낙동강 하구, 을숙도 등지에서 겨울을 보내러날아온다, 러시아 캄차카에서 여름을 난 고니는 9월초 몽골을 거처남하하기 시작하여 10월에는 중국, 11월초 북한 대동강을 거처한강의 팔당, 양수리, 경안천, 그리고 금강과 낙동강하구에서월동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4, 11, 29, 촬영, 더보기
겨울 손님 팔당 고니 -4 겨울 손님 팔당 고니 -4 11월에 폭설로 첫 눈이 내려 조금은 마음에 위안과 낭만을 주었고고니가 먼길을 날아 팔당호를 찾아와 겨울이 즐겁기만 하다,고니의 또 다른 이름은 백조(白鳥)이다, 생상스는 19세기~20세기의 프랑스 대표적인 음악가 이다,생상스는 작곡가로 알려저 있지만 그는 불세출의 피아니스트 였고지휘자이자 평론가 였으며 화가, 문학가등 예술의 전 분야를아우르는 전방위 예술가 였다,  모음곡 는 1886년 2월, 그가 51세때 작곡한 작품이다,그는 친구인 샤를 르부크가 주최하는 사육제의 음악회에서 청중들을놀라게 하기 위하여 작곡했다 한다,풍자와 기지에 찬 아주 기발한 실내 관현악용 모음곡이다, 전 14곡으로 된 이 작품중 는 매우 아름다운 연주곡이다,는 제13곡으로 아름다운 호수에서 백조들이 무.. 더보기
참수리 사냥 -1 참수리 사냥 -1 참수리는 흰꼬리수리속 조류중에서 가장적은 개체수로존재하는 희귀조류이다, 참수리는 암컷기준 몸길이 81~105cm,날개길이 1,95~2,5m, 체중 6~9kg 정도이며 수컷은 암컷의 2/3크기이다, 흔히 Eagle 이라고 불리는 수리류중 가장 크고 무거운 종이다,한국에서는 겨울철에 볼수있는 철새로 주로 해안이나 강 하구에서식한다, 한국에서 볼수있는 맹금류중 독수리 다음으로 큰 종이다,천연기념물 제 243호로 지정 보호받고 있으며 멸종위기 야생동물1급이다, 요즈음 팔당에는 참수리의 사냥모습을 촬영하려 전국에서 모여든조류사진가 30-50여명이 매일 어둠내린 이른새벽부터 진을치고날이 밝기를 기다린다, 참수리는 하루에 1번 또는 많게는 2번 정도 사냥을하고 통상나무가지에 앉아서 휴식을 취하거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