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토에세이

우이천 원앙 & 함동선의 문학비답사기





                                                                

                                                           우이천의 원앙 &

                                                       함동선의 문학비 답사기


                                     원앙을 떠 올리면 맨 먼저 생각나는곳은 창경궁 춘당지 연못의

                                     원앙이다, 금슬 좋은 부부를 표현할 때 흔히 원앙에 견주곤 한다.

                                     진(晉)나라 때 최표는 '고금주' 에서 이렇게 적고 있다,


                                     원앙은 물새다. 오리의 종류다. 암컷과 수컷이 절대로 서로 떨어지지

                                     않는다. 사람이 한 마리를 잡아가면 남은 한 마리는 제 짝을 그리다가

                                     죽고 만다. 그래서 원앙을 필조(匹鳥), 즉 배필새라 한다.


                                     '본초강목' 에는 “수컷은 ‘원(鴛)’ 하고 울고, 암컷은 ‘앙(鴦)’ 하며 운다”

                                     고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원앙의 부부관계는 번식기에만 유지되고

                                     번식기가 끝나면 각자 행동한다. 또 이듬해에는 다시 새로운 짝을 찾아

                                     구애 행동에 들어간다. 하지만 번식기 동안의 원앙 부부는 잠시도 떨어지지

                                     않고 함께 행동하므로 다정한 부부의 사랑을 상징하는 새로 자리잡았다.


                                     어찌보면 원앙의 부부관계는 2세 잉태를 위한 일정기간동안 정략적 계약결혼

                                     인셈이다, 그러나 정해진 계약기간 동안 곁눈질 하지않고 상대에게만 사랑을

                                     쏟아준다는 점에서 원앙의 사랑을 높이 평가할만하다,


                                     원앙의 사랑을 보면서 문득 박계주의 '순애보' 그리고  '플로베르' 의

                                     '보바리 부인'과 영국의 작가 D. H. 로렌스의 장편소설 '채털리부인의 사랑'을

                                     떠 올려본다,

                                    

                                                                        2020, 2, 14, 촬영,






                                     우이천에 원앙이 있다고 이대의 시인으로부터 연락을 받고 달려갔다,

                                     갈수기라서 우이천에 물은 많지 않았다, 수초가 무성한 콘크리트 옹벽

                                     사이에 우이천이 흐르고 한편에는 산책로가 잘 조성되어 주민들이

                                     산책을 즐기고 있었다,


                                     우이천 중간중간 작은보를 만들어 고여있는 물이 있을뿐 흐르는 물은

                                     수량이 빈약했다, 원앙들은 수풀 덤불속에서 쉬다가 가끔씩 산발적으로

                                     날아와 미끌어지듯 유영을 즐기곤 했다, 미세먼지도 많았고 도심속이라

                                     근처 고층 건물들의 그림자에 가려 우이천엔 거의 빛이 들지 않았다,


                                     내가 가끔식 펼처보는 책중에 함동선의 '문학비답사기' 라는 책이 있는데

                                     나는 지방 여행을 갈때 꼭 그 지방출신 시인들의 시비를 찾아 한 두곳을

                                     답사하곤 했는데 이 책이 많은 도움을 주었었다,


                                     내가 좋아하는 시비 한둘을 들라하면 선운사 주차장 한켠에 먼지를 뒤집어

                                     쓰고 외롭게 서있는 미당 서정주시인의 "선운사 동구"시비,,

                                     '선운사 골째기로 / 선운사 동백꽃을 보러 갔더니 / 동백꽃은 아직 일러 피지

                                     안했고 / 막걸리집 여자의 육자배기 가락에 / 작년 것만 상기도 남았습니다.

                                      / 그것도 목이쉬어 남았습니다',,~


                                     그리고   부안군청뒤 상소산엔 서림공원이 있고 공원 한쪽곁에 조선시대

                                     이지역 여류문인 "이매창 시비"가 있는데 여기엔 이런시가 쓰여있다,

                                     '이화우 흩날릴제 울며잡고 이별한임 / 추풍 낙엽에 저도 날 생각 하는지

                                      / 천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도다',, ~


                                     지난해 가을에는 내가 살고있는 종암동에 이육사 시인이 1939~1941까지살면서

                             가장많은 작품을 발표 했는데 이때 <청포도>와 <절정>등을 성북동에 거주한

                                    상허 이태준(수연산방 주인) 선생이 주도한 "문장" 지에 발표한것을 기념하여

                                    '문화공간 이육사' 건물을 건축하고 '이육사 청포도 시비'도 새로 세웠다,

                                     사실은 나도 한때 함동선 시인의 발길이 미치지 않은 전국의 시비를 답사하고

                                     답사기를 쓰고싶은 시절이 있었다,


                                     원앙을 촬영하던중 이대의 시인과 잘 알고 지내는 '함동선의 문학비 답사기'

                                     저자인 함동선시인을 우연히 만났다, 함동선 시인과 이대의 시인 모두 현재

                                     우이천과 가까운 덕성여대 부근에 살고 있다, 나도 백운대와 우이솔밭이 빤히

                                     내다 보이는 덕성여대입구에 아담한 2층 단독주택을 짖고 10년을 살았었다,


                                     함시인은 부인이 몸이 불편한듯 부인의 휠체어를 밀고 우이천을 산책하던

                                     중이었다, 반가운 마음에 인사를 건네고 이런저런 문학비 주변의 이야기를

                                     나누었다, 뜻밖의 장소에서 귀인을 만난것이었다,


                                     함동선 시인은 황해도 연백출생으로 서라별예대와 중앙대를 졸업하고

                                     시집으로 우후개화, 끝이 있던 자리, 고향은 멀리서 생각하는것,

                                     우리들의 빈들녁을 깨우는 새벽, 등이 있고 전국의 시비를 답사하고 쓴

                                     '문학비 답사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