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접사

봄의전령 노루귀 -4





                                                          

                                                   봄의전령 노루귀 -4


                                               산 너머 조붓한 오솔길에
                                               봄이 찾아 온다네
                                               들너머 뽀얀 논 밭에도 온다네
                                               아지랑이 속삭이네 봄이 찾아 온다고
                                               어차피 찾아오실 고운 손님이기에
                                               곱게 단장하고 웃으며 반기려네
                                               하얀 새 옷입고 분홍신 갈아 신고,


                                       "봄이 오는길" 이란 제목의 박인희 노래이다,

                                       작사, 작곡은 김기웅,,

                                       봄은 희망의 계절이요, 낭만과 사랑의 계절이기도 하다,

                                       "봄" 하면 비발디의 "사계" 중 "봄" 을 떠 올리지 않을수 없다,


                                       그리고 또 하나,, 요한 스트라우스 2세의 "봄의 소리왈츠",,

                                       1987년 빈필 신년음악회에서 카라얀이 지휘봉을 잡고

                                       소프라노 "캐슬린 베틀"이 붉은색 연주복을 입고 노래 했던 "봄의 소리왈츠" ~

                                       세월이 많이 흘렀지만 그 순간을 잊을수 없다,

                                       가곡 "목련화" 하면 엄정행의 노래가 먼저 떠 오르듯

                                       "봄의소리 왈츠" 하면 "캐슬린 베틀" 이 먼저 떠 오른다,


                                       - 봄의 소리 왈츠 -

                                       요한 스트라우스 II <봄의 소리 왈츠> OP.410


                                       요한스트라우스 2세 작곡,
                                       내림나장조, 작품번호 410. 1882년 작곡, 원래 무도를 위한 곡이 아니라
                                       연주회용으로 작곡된 것이며, 4마디의 도입부 뒤에 곧 왈츠가 시작된다.
                                       코다[結尾]는 처음의 선율이 주로 쓰이고 있다. 보통 왈츠처럼 왈츠부분이
                                       제1왈츠 ·제2왈츠로 구분되어 있지 않고 전체를 통해 작곡 되었다.


                                       환희에 넘친 봄을 상기시키는 경쾌 하면서도 사랑스러운 곡으로,

                                       그의 만년의 걸작이라는 평을 받는다. 그의 왈츠곡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빈 숲속의 이야기' '예술가의 생애' 등과 함께 많이 연주되고 있다.

                                       "봄의 소리 왈츠"는 왈츠의 황제 요한스트라우스가 자신의 오페레타가
                                       ‘유쾌한 전쟁 부다페스트’ 에서 초연되는 지휘를 위해 58세 되던 1883년 2월
                                       헝가리에서 우연히 초대된 디너피티에서 이미 친분이 두터웠던 리스트와 집
                                       여주인의 연탄을 바탕으로 즉흥적으로 하나의 왈츠를 다듬어 내어

                                       그곳 청중들에게 들려준 왈츠곡이다. 짤막한 전주를 거쳐 세 개의 작고 우아한

                                       왈츠가 이어지고 첫 왈츠의 주요부를 재연하며 끝을 맺는 형식이다.

                                                                                          2019, 3, 8, 촬영,


























'야생화·접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봉도 노루귀-2  (0) 2019.03.19
구봉도 노루귀-1  (0) 2019.03.17
봄의전령 노루귀 -3  (0) 2019.03.09
봄의전령 노루귀 -1  (0) 2019.03.06
노루귀  (0) 2019.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