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유적·문화재

배롱나무꽃 필무렵-2 / 신원사





                                                                              

                                                                     배롱나무꽃 필무렵-2

                                                                               신원사


                                              계룡산 신원사  新元寺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8

                                              신원사는 충남 계룡산 자락 갑사와 가까운 거리에서 마주하고 있는

                                              풍광이 수려하고 유서깊은 사찰이다,


                                              계룡산은 지기(地氣)가 많은 바위산으로 예로부터 많은 도인들이

                                              은거하며 도를 닦았던 한국의 명산중 명산이다,


                                              신원사는 계룡산 정상이 빤히 바라보이는 산자락에 위치해 있으며

                                              계룡산이 마치 사찰을 감싸안고 있는 형국이다,

                                              사찰경내 둔턱이 사람키보다 높은 제단위 대웅전과 독성각 사이에

                                              배롱나무꽃이 요즈음 붉은빛으로 화사하게 활짝 만개했다,


                                              찌는 무더위로 심신이 지치고 밤잠을 설처 피곤한 여름,

                                              계룡산 깊은골 신원사에 가서 홍역의 열꽃같은 배롱나무꽃을 보는것은

                                              마음 건강을 위하여 보약한재 정도의 약효가 있다 생각한다,


                                                                                       2018, 8, 7, 촬영,






                                             신원사


                                                   - 상록수 -


                                     계룡산 자락 그 어딘가에

                                     신원사 라는 절집 하나 있었던가


                                     절마당 곧장 질러 돌계단 오르면

                                     칠성각이 있다던데


                                     등 굽은 배롱나무

                                     온 몸에 분칠을 하고

                                     나를 기다린다

                                     꿈 속에서 전해 듣고


                                     꼭두 새벽 눈꼽을 털고

                                     단숨에 달려가 보니


                                     대웅전 추녀끝 풍경이

                                     뎅그렁 환호하고


                                     칠성각 불상이 미소로 반기고

                                     벌거벗은 배롱나무꽃이

                                     온 몸으로 달려드네












                                       신원사가 있는 계룡산은 양산이요, 골산이다,


                                       산은 음산(陰山)과 양산(陽山)으로 구분 하는데

                                       음산은 육(肉)이 많은 산으로 육은 흙을 가리킨다,

                                       한편 양산은 골(骨)이 많은 산을 일컷는데 골 이란 바위를 가리키며

                                       바위가 많은 산이 곧 양산이라 할수 있다,


                                       따라서 바위가 많은 계룡산은 양산이요 골산인 셈이다,

 

                                       양산은 바위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기(地氣)가 방사 된다고 여기며

                                       지기는 사람에게 좋은 기운을 준다고 알려져 있어 지기가 많은 산은

                                       종교적 영성과 깊은 관계를 맺게마련이다,


                                       서울북쪽을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인왕산, 북한산,

                                       그리고 충남 계룡산 모두가 바위가 많은 골산으로 이곳에는

                                        예로부터 유명한 승려나 수행자들이 도를닦는 장소로 이어져 내려왔다,


                                       유명한 탄허스님도 계룡산 자락 학하리를 아주 좋아했다,

                                       학하리 자광사 터는 원래 우암 송시열이 공부하던 집성사 자리이다,

                                       신원사가 있는 양화리와 학하리는 계룡산을 사이에두고 직선거리 10km도 채 않된다,

 




                                                      한 보살이 칠성각을 나서 배롱나무 꽃길위를 휘적휘적 걸어 대웅전쪽을 향하고 있다,






                                                                    독성각 / 칠성각 과 배롱나무꽃

 

                                                              전각 중앙에 걸려있는 현판에는 "독성각"(獨聖閣)이라 쓰여 있는데

                                                              출입문 위에는 "칠성각"이라 한글로 쓰여있는 작은 편액이 걸려 있다,

 

                                                              한국불교에서 "독성각" 과 "칠성각" 은 좀 다른 의미를 갖이고 있으나

                                                              신원사에서는 불교의 큰 틀에서 같은 의미로 해석하는 모양이다,


                                                              칠성각(七星閣)은 인간의 수명 장수와 재물을 관장하는 칠성신을

                                                              모시는 전각으로 칠성은 본래 도교에서 신앙하던 것으로 한국으로

                                                              들어 오면서 좀 다른 의미의 민간신앙으로 자리 잡았다,

 

                                                              독성각(獨聖閣)은 나반존자를 모신 곳으로 이 존자는 남인도의 천태산에서

                                                              홀로 수행한 성자 였다하여 독성(獨聖)이라는 이름을 갖었다,

                                                              그는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일을 알수 있고 중생에게 복을 주고

                                                              그의 소원을 성취 시켜줄수 있다한다, 독성각에는 나반존자상을 모시지만

                                                              독성탱화를 걸어두기도 한다,

 

                                                              칠성각 옆에 있는 수령 수십년된 배롱나무에 붉은 선홍빛 배롱나무꽃이

                                                              활짝 피었다, 배롱나무는 마치 커다란 우산을 펼친 형상으로

                                                              칠성각을 향하여 비스듬히 굽어있어 그 모양이 더욱 아름답다,

 
































































'종교유적·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수궁의 여름  (0) 2018.08.13
배롱나무꽃 필무렵 -3 / 종학원  (0) 2018.08.10
배롱나무꽃 필무렵-1 / 돈암서원  (0) 2018.08.08
봉국사  (0) 2018.05.23
성북구 보문사  (0) 2018.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