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유적·문화재

배롱나무꽃 필무렵-1 / 돈암서원





                                                                      

                                                              배롱나무꽃 필무렵-1

                                                                      돈암서원


                                         목백일홍 / 백일홍나무 / 배롱나무

                                         붉은꽃이 100일동안 핀다고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열흘 붉게피는 꽃이 없다 했거늘

                                          감히 그 말을 무색하게 비웃기라도 하듯 백일이나 붉게 핀다니,~


                                          뜨거운 여름이 오면 꽃이 피기 기다려지는 꽃이 있다,

                                          이 꽃은 반드시 뜨거운 여름의 정수리에 꽃이 피는것도 이상 야릇하다,

                                          마치 홍역의 열꽃처럼, 청춘의 목덜미에 벌겋게 돋는 여드름 같은꽃,,


                                          배롱나무꽃 필무렵 이면 언제나 여름은 헐떡 거리며 숨을 몰아쉰다,

                                          펄펄 끓는 제 몸 스스로에서 내뿜는 뜨거운 열기 때문일것이며

                                          그 놈의 못돼먹은 급한 성깔 때문인지도 모른다,


                                          배롱나무꽃 필무렵 이면 돈암서원에 한번 가 볼일이다,

                                          조선양반 문화의 정수가 깃든 예학의 자취를 찾아서,,


                                                                          2018, 8, 7, 촬영,







                                          돈암서원은,,~

                                          1634년(인조12년) 김장생(金長生)


                                         (1548, 명종 3,∼1631, 인조 9. 조선 중기의 학자·문신. 본관은 광산 光山.

                                          자는 희원 希元, 호는 사계 沙溪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1659년(효종 10)에는 김집, 1688년(숙종 14년) 송준길, 1695년에는

                                          송시열을 각각 추가 배향하여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향토서원이다,

 

                                          당시에는 현재의 연산면 임리(숲말)에 소재 하였는데 서원 서북쪽에 "돈암"

                                          이란 큰 바위가 있어 서원의 이름을 "돈암" 이라 하였다 한다,

 

                                          돈암서원은 고정산 줄기가 이어지는 중간쯤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을 향해

                                          앞으로는 들판을 가로질러 연산천이 흐르고 뒤로는 고정산 줄기가 배산을 형성하는

                                          배산임수 형태로 풍수지리상의 관점에서 본다면 길지, 명당이라 할수 있다,

                                          전면 좌측에는 계룡산이 있고 우측에는 대둔산이 있다,






                                                              돈암서원 관리소 / 그 옆에 수령이 수백년은 족히 돼 보이는 배롱나무 한그루가

                                                               서 있는데 온통 홍역의 열꽃같은 붉은 목백일홍이 가지가 부러질듯 만개 했다,










                                                                                                             외삼문





                                                                           돈암서원 관리소 / 목백일홍 / 외삼문 / 산앙루(山仰樓)





                                                                                                      사당 / 숭례사


                                                 사당인 숭례사 양 옆으로는 수령 수십년의 배롱나무가 활짝 선홍빛 꽃을 피우고 있었고

                                                              우측편에는 수형이 매우 아름다운 소나무가 운치를 더해주고 있었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전면열은 퇴칸이고, 후면 2열은 내부공간을 꾸며

                                                                     김장생, 김집, 송준길, 송시열 네분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내삼문에서 바라본 숭례사





                                                                                                       내삼문


                                                            사당인 숭례사로 들어가는 문, 내삼문, 이 문을 열고 들어가면 숭례사가 자리하고 있다,

                                                            사묘앞의 삼문은 어칸과 양 협칸을 별도로 하나씩 세우고 문과 문 사이에는 담이 쳐저있다,

                                                            묘문이 있는 담에는 들어가면서 보면 기와로 형상화된 글자가 오른쪽에 <지부해함>,

                                                            가온데에는 <박문약례>가,  왼쪽에는 <서일화풍>이 있다,

 

                                            지부해함(地負海涵) / 땅이 온갖 것을 다 실어주고, 바다가 모든 물을 다 받아주듯 모든것을 포용하라,

                                            박문약례(博文約禮) / 지식은 넓게 가지고 행동은 예의에 맞게 하라,

                                            서일화풍(瑞日和風) / 좋은 날씨 상서로운 구름, 부드러운 바람과 단비, 즉 다른 사람을 편안하게 해주고 웃는 얼굴로 대하라,

 

 



                                                                                                              정회당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후면 열 가온데 2칸을 마루방으로 두었다,

                                                                       사계선생의 부친인 황강공께서 강학하던 건물로 대둔산 자락의

                                                                                          고운사 터에서 1954년에 옮겨왔다,





                                                                                                         묘 당

 

                                            양성당(정면 중앙) / 정면 5칸, 측면 2칸에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사계선생이 생전에 강학하던 강당이다,

                                            정회당(양성당 좌측 뒷건물) /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후면 열 가온데 2칸을 마루방으로 두었다,

                                                     사계선생의 부친인 황강공께서 강학하던 건물로 대둔산 자락의 고운사터에서 1954년에 옮겨왔다,

                                            장판각(양성당 우측) / 정면 3칸, 측면 2칸에 내부는 모두 마루다, 무고주 5량 집 구조이고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기단은 장대석 외벌 대로 하고 덤벙주초를 놓은 다음 두리기둥을 세웠다,

                                                     장판각에는 사계, 전서, 신독재, 전서, 황강, 실기 등 목판이 보관되어 있다,

 

 








                                                                                                    응도당 / 강당


                                                     국가보물 제1569호 / 돈암서원에서 유생들을 가르치던 강당으로 강학공간에서

                                                        전면에 직각방향으로 틀어저 배치되어 있다, 건물의 규모, 익공의 화려함,

                                                      화반의 아름다움 등 국가문화재로서 손색이 없어 지금도 고건축을 연구하는

                                                                                   분야에서는 소중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담장 밖에서 바라본 돈암서원





                                                                                    배롱나무꽃이 예뻐 셀프타이머로 인증샷 한컷

'종교유적·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롱나무꽃 필무렵 -3 / 종학원  (0) 2018.08.10
배롱나무꽃 필무렵-2 / 신원사  (0) 2018.08.09
봉국사  (0) 2018.05.23
성북구 보문사  (0) 2018.05.22
보은 우당고택 /선병국가옥  (0) 2018.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