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경

고대산역고드름

 

 

 

 

                                                                                 

                                                                            고대산역고드름

 

                                                          고드름 고드름 수정 고드름

                                                          고드름 따다가 발을 묶어서

                                                          각시방 영창에 달아 놓아요

 

                                                          1930년대에 윤극영이 발표한 "고드름" 의 일부다,

                                                          겨울철이니 고드름을 보는것도 의미가 있겠다 싶어

                                                          고드름을 보러 연천, 철원으로 차를 달렸다,

 

                                                          오랫만에 슈베르트의 가곡 <겨울 나그네> 를

                                                          "알프레드 브렌델" 의 피아노, "디트리히 휫셔 디스카우" 노래

                                                           필립스 CD를 카 오디오로 들으며 차를 달렸다,

 

                                                           Franz Schubert

                                                           WINTERREISE

                                                           Dietrich Fischer - Dieskau

                                                           Alfred Brendel

 

                                                           슈베르트는 1826년(29세) 스스로의 죽음이 멀지 않았음을 예감하고

                                                           현악4중주 D단조 <죽음과 소녀>를 작곡했고 이어 가곡집 <겨울나그네> 를 완성 했다,

                                                           <겨울나그네>는 당시의 시인 이었던 "빌헬름 뮐러"(Wilhelm Muller)의 시를 우연히

                                                           읽어보고 큰 감동을 느껴 작곡하게 되었다,

 

                                                           내용은 사랑에 실패한 청년이 삶의 희망을 잃고 끝없는 겨울 나그네의 길을 떠나면서

                                                           격는 갖가지 고초와 괴로운 체험을 노래한 것이다,

                                                           <겨울나그네> 전 24곡중 나는 제1곡 / 안녕히 주무세요, 제5곡 / 보리수, 제11곡 / 봄날의 꿈,

                                                           제13곡 / 우편마차, 제24곡 / 거리의 악사 를 좋아해 반복해서 듣곤 한다,

 

                                                           고대산 역고드름 위치 /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 173, 고대산 중턱

 

                                                                                                       2017, 1, 26, 촬영,

 

 

 

 

 

 

 

 

 

 

 

 

 

 

 

                                            우리가 흔히 보는 위에서 아래로 물방울이 떨어지면서 얼어서 생기는 고드름을 <빙주>라 하고

                                                  반대로 아래서 위로 오르면서 물방울이 얼어 생기는 역고드름을 <승빙>이라 하는데

                                                                        이곳 고대산 역고드름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수있다,

 

 

 

 

 

 

 

 

 

 

                             투명하게 백옥처럼 흰 고드름을 보면서 흰 대리석 궁전을 떠 올린다,

                             인도의 타지마할,,

 

                             무굴왕조의 샤자한 황제는 어느날 시장에서 자질구레한 장신구를 팔고있던 19살의 처녀

                             바누베감을 보고 한눈에 반해 그를 왕비로 맞아 들였다, 그녀를 지극히 사랑한 왕은 그녀에게

                             궁전의 꽃 이라는 의미의 "뭄타즈 마할"(Mumtaz Mahal) 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왕과 왕비로 두사람은 행복하게 살던중 신의 질투 였는지 알수 없으나 뭄타즈 마할이 임신한 상태로

                             왕과 함께 출정한 데칸고원의 전쟁터 근처 천막에서 출산을 하다가 39나이로 애석하게 세상을 뜬다,

 

                             둘은 17년 결혼생활에 14명의 자녀가 이미 있었다, 왕비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큰 충격에 빠진 왕은

                             하루 아침에 머리카락이 백발이 되었다, 아내를 그리워 하는 마음에 황제는 2년동안 상복을 벗지 않았고

                             죽은 아내에게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묘지를 만들어 주기를 결심하고  22년에 걸처 아름다운 무덤

                             을 만들었으니 그 조형물이 타지마할 이다, 

 

                             고대산 역고드름을 촬영하고 돌아오는길,,~~

                             하얀 대리석 궁전 타지마할의 슬픈 전설을 떠 올리며

                             발페의 오페라 <보헤미안 걸> 중 <나는 대리석 궁전에서 사는 꿈을 꾸었네>를

                             호주출신 소프라노 <조안 서델랜드> 노래로 들어본다,

 

                             이 노래는 내 핸드폰의 벨 음악 이기도하다,

                             핸드폰은 조안 서덜랜드 노래가 지원되지 않아 조수미 노래로 설정 하였다,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산골한옥마을  (0) 2017.01.30
재인폭포의 겨울  (0) 2017.01.28
장호항 - 2  (0) 2017.01.23
경복궁설경-2  (0) 2017.01.22
경복궁설경-1  (0) 2017.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