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경

강화 화개정원 & 연산군유배지 -2

 

 

강화 화개정원 & 연산군유배지 -2

 

주 소 / 인천 강화군 교동면 고구리 산 233

전 화 / 032-932-2336

 

연산군유배지와 화개정원이 있는 교동도는 교동면의 본섬으로

현재는 육지와 연결되어 있다, 강화도의 서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한강을 건너면 황해도 연백군이며 휴전선을 경계로 북한과

마주하고있다,

 

교동도는 고구려시대에는 '고목근현'으로, 신라 경덕왕때에는

'교동현' 이라는 지명으로 개칭되었고, 고려시대에는 벽란도로 가는

중국사신들이 머물던 국제교역의 중간 기착지였다 한다,

 

화개정원 안에는 연산군의 유배지와 유배에 관련한

자료들이 있다, 연산군은 나이든 세대들은 '폭군연산' 이라는

영화덕에 별로 좋지않은 이미지를 갖고있는것이 사실이다,

 

폭군연산은 1962년 개봉된 영화였다, 이 영화는 월탄 박종화의

소설 '금삼의 피'를 영화화한 신상옥감독의 작품이었다,

'폭군연산' 에는 당대의 기라성 같은 배우들이 총 출연했었다,

신성일, 김진규, 황정순, 남궁원, 최남현, 김희갑, 최은희, 이빈화,

도금봉, 구봉서, 이예춘, 주증녀, 한은진, 김혜정, 전옥, 양훈 등,

 

중종반정이 일어나 연산군은 폐위되고 폐주 연산군은

강화도 교동으로 유배되었다, 특이한점은 분홍옷을 입고

갓을 쓰고 교동으로 출발했다,

 

연산은 가마에 올라타며 '내가 큰 죄가 있는데 특별히 상의

덕을 입어 무사하게 간다' 라고 말했다 전한다,

연산이 교동에 도착한것은 1506년 중종1년 9월 초순이었다,

교동까지 연산군을 호위한것은 심순경등 일행이었다,

 

교동에 연산군 유배지로 알려진 곳은 몇군데가 있다,

그 중 교동읍성 안이 가장 유력한 곳으로 알려저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현재의 화개정원을 유배지로 공식화 하였다,

 

연산군은 교동에 유배된지 2개월이 지난후 31세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런데 중종은 이보다 앞서 연산군의 네아들 모두를 죽였다,

연산군이 죽은후 연산군은 교동 어디쯤에 묻혔다, 그로부터 8년후

1513년 중종 8년 연산군의 부인 폐비 신씨가 중종에게 요청하여

양주 혜촌으로 묘를 옮기게된다, 혜촌은 현재의 도봉구 방학동으로

연산군의 묘가 그곳에 있다,

 

대중교통 서울 시내버스 130번은 우이동에서 길동까지 운행하는데

'연산군, 정의공주묘' 정류장에 하차하면 그곳에 연산군묘가 있다,

연산군묘 입구에는 서울시지정 보호수 1호인 수령 830년된 은행나무도

있다,

 

2023, 8, 21, 촬영,

 

 

 

 

화개정원 전경

 

 

 

 

 

 

 

 

 

 

 

연산군의 유배모습

 

 

 

 

 

 

 

 

 

 

 

 

 

 

 

 

 

 

 

 

 

 

 

 

 

 

 

 

 

 

 

 

 

 

 

 

 

 

 

 

 

 

 

 

 

 

 

 

 

 

 

 

 

 

 

 

 

 

 

 

 

 

 

 

 

 

 

 

 

 

 

 

 

 

 

 

 

 

 

 

 

 

 

 

 

 

 

 

 

 

 

 

 

 

 

화개산 전망대 전경

 

 

 

화개산전망대에서 바라본 교동평야와 멀리 보이는 북녁땅

 

 

 

 

 

 

 

 

 

 

 

교동대교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도항 갈라진 땅  (28) 2023.08.29
목섬 그 섬에 가고싶다  (37) 2023.08.28
강화 화개정원 & 화개산전망대 -1  (28) 2023.08.22
철원 매월대 청정계곡  (28) 2023.08.15
비둘기낭폭포  (33) 2023.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