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공연·예술

판운섶다리 호상놀이





                                                                    

                                                                  판운섶다리

                                                                   호상놀이


                                             소재지 /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판운리

 

                                             영월군 주천면 판운리에는 늦가을 추수가 끝나 좀 한가한 계절이 되면

                                             동네사람들이 함께 개울에 섶다리를 놓아 옛날 우리 시골마을 개울의

                                             정겨운 모습을 재현 한다,


                                             금년에는 특별히 섶다리에서 <판운섶다리 문화콘서트>를 열었는데

                                             문화콘서트의 대미를 장식한 하이라이트는 단연 섶다리 호상놀이 였다,


                                             판운리 동네주민들이 상여를 메고 요령잡이의 상여소리에 맞추어

                                             섶다리를 건너는 장면은 우리 고유의 전통 민속행사로 요즈음 좀처럼

                                             쉽게볼수 없는 귀한 장면이 아닐수 없다,

 

                                             섶다리는 통나무, 소나무가지, 진흙, 뗏장으로 놓여진 임시다리를 말하는데,

                                             강을 사이에 둔 마을주민들의 왕래를 위해 매년 물이 잦아든 늦은 가을에

                                             놓았다가 여름철 장마비에 불어난 물에 의해 떠내려 갈때까지 사용된다.

 

                                             예전에는 영월과 정선 일대에서 많이 볼 수 있었고, 내가 자란 충청도 시골마을

                                             개울에도 있었지만, 지금은 현대적인 토목기술의 발달로 콘크리트 교량이

                                             그자리를 차지하고 대부분 사라져버려 섶다리는 이색 풍물이되어 사람들의

                                             옛추억을 자극하고 있다,

 

                                             판운리의 섶다리는 판운마을회관 앞에 놓여져 평창강을 사이에 둔

                                             밤나무가 많이 난다는 밤뒤마을과 건너편의 미다리 마을을 하나로 연결해주고 있다.

                                             미다리라는 지명 이름도 삼면이 강으로 둘러싸여 여름 장마 때면 섶다리가 떠내려가

                                             다리가 없다고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니, 그 이름이 정겹기만 하다.

 

                                             섶다리는 통상 매년 추수를 마친 10월말경 마을 동네 사람들이 모여 4~5일에 걸쳐

                                             만들었다가 다음해 5월 중순경 장마가 시작되기 전에 거두어들이게 되는데,

                                             물에 강한 물푸레나무를 Y자형으로 거꾸로 박고, 그 위에 굵은 소나무와 참나무를

                                             얹어 다리의 빼대을 만든 후 솔가지로 상판을 덮고 그 위에 뗏장과 흙을 덮는다고 한다.

 

                                                                                               2018, 11, 10, 촬영,


                                                                                                   



                                                                              상여가 섶다리를 건너 가기에 앞서 잠시 쉬고 있다,





                                                                                               상여가 섶다리를 향하여 출발










                                       만장을 앞세우고 요령잡이의 상여소리에 맞추어 발걸음을 천천히 옮기며 조심스럽게 섭다리를 건너고 있다,






                                                         상여소리


                               상여소리는 향도가, 향두가, 상두가, 상부소리 라고도 부른다.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면서 산 사람에게는 액이 들지 말고 복만 들기를

                               기원하는 염원을 담고 있다,


                               이별의 슬픔과 영원한 삶에 대한 소망도 담겨 있다. 상여의 운반은 여럿이

                               호흡과 발을 잘 맞춰야 하는 어려운 일이다. 집을 떠날 때, 가파른 언덕이나

                               산길을 오르고 내릴 때, 개천이나 다리를 건널 때, 장지에 도착할 때 등 상황에

                               따라 가락과 사설이 다르며 지역에 따라 가락, 사설, 뒷소리 등에 차이가 있다.


                               가창방식은 상여 앞에선 소리꾼이 요령을 흔들면서 "북망산이 머다더니 저 건너

                               안산이 북망이네" 등으로 앞소리를 메기면, 상여를 맨 상여꾼들이 뒷소리를 받는다.

                               뒷소리는 "어허이 어허", "어허넘차 어허", "관살에 보살 나무애비타불" 등

                               지역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영월 주천 판운리 섶다리에서 호상놀이 행사를 지켜보면서

                              2014년 한국영화 임권택 감독의 <화장>을 떠 올렸다

                              <화장>은 안성기, 김규리, 김호정 주연영화로 원작은 제28회

                              이상문학상 대상을 수상한 김훈 작가의 동명 소설 이었다,


                              <화장>에서는 죽어가는 아내와 살아있는 한 젊은 여자 사이에서

                              방황하고 갈망하는 한 남자의 이야기를 통해 지금 현재 우리의 모습을

                              보여주며 관객들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동서고금을 관통한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인 삶과 죽음, 사랑과 번민

                              이라는 소재를 임권택 감독만의 무르익은 성찰의 시선으로 그려내

                              한국적인 것을 넘어 세계와의 예술적 공감을 유도했다,


                              사람의 삶이 아름다운 이유는 죽음이 있기 때문이다, 라고 누군가가 말했다,

                              죽음이 없다면 삶이 그리 아름답지 않다는 것이다,

                              사람은 가끔씩 삶과 죽음의 그 경계선에서 고민하고 고뇌한다,

                              산다는것은 매일 밥을 먹듯 물리지는 않는 일인듯 오늘도 삶의 무대에

                              무덤덤히 서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한다,









                                              섶다리 중간쯤에 이르러 상여는 잠시 멈추고 상주는 상여를 향하여 곡소리를 내며 큰 절을 올리고

                                                  상여꾼들은 상여를 잠시 내려놓고 쉬며 땀을 들이고 농주 한사발로 칼칼해진 목을 추긴다,










                                                   상주가 소매깃에서 투툼한 노잣돈 봉투를 꺼내 상여앞에 붙인후라야 상여는 다시 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