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토에세이

양수리의 겨울 / 시인

 

 

 

 

 

 

                                                                       

                                                               양수리의겨울 / 시인

 

                                         서울에서 늘 만만하게 찾아갈수 있는 사진 촬영하기 좋은곳은

                                         역시 양수리가 아닐까 한다,

 

                                         두물머리도 좋지만 양수대교를 그냥 지나처 운길산역을 지나면

                                         바로 물의 정원이 있고 조금 더가면 송촌1리 마음정원이 있다,

                                         마음정원 철새탐조대 부근에는 가끔 고니가 날아와 노닐기도 한다,

                                         사진촬영을 하지 않고 그냥 산책만 해도 좋은길이다,

 

                                         이곳에서 조금더 가면 커피로 유명한 <왈츠와 닥터만>이 자리잡고 있다,

                                         사진촬영을 다니다 보면 그렇게 여유있고 한가롭게 커피솝에

                                         앉아있을 시간이 없어 흔히 지나치기 일수일 때가 많다,

 

                                         바다는 겨울바다가 좋고 강변길도 아무도 없는 조금은 쓸쓸한

                                         겨울 호반 산책로가 한가롭고 운치가 있어 좋다,

 

 

                                         시인 되면 어떻게 되는 거유

                                         돈푼깨나 들어오우

 

                                         그래 살맛 난다,

                                         원고 청탁 쏟아져 어디 줄가 고민이고,

                                         평론가들 술 사겠다고 줄 선다,

                                         그뿐이냐,

                                         베스트셀러 되어 봐라,

                                         연예인, 우습다,

 

                                         하지만

                                         오늘 나는

                                         돌아갈 차비가 없다,

 

                                         "한명희" 의 <등단이후> 라는 시다,

                                         나는 시인도 아니고 시를 잘 알지 못하지만 어떤 잡지에서 시인의 수입을 가늠한

                                         글을 보니 문학지 시 한편 고료가 3만~5만원이고, 원로급은 되어야 10만원쯤 되며,

                                         중견시인이 시집을 내게 되면 보통 한 2,000부쯤 인쇄를 하는데 시집 한권을

                                         8,000원쯤으로 보면 시집이 다 팔린다 해도 수중에 들어오는 인쇄는 약 100만원

                                         안팍 이라한다,

 

                                         그렇게 혼신을 다하여 쓴 시집 한권을 내어 그 많은 부수가 다 팔린다 해도

                                         수입이 겨우 100만원 정도라니 이게 어디 말이 되는 소리인가 ?

                                         영국시인 <하우스 먼>은 시인이 시를 쓰는작업을 일러

                                         "상처받은 진주조개가 지독한 고통속에서 분비작용을 하여 진주를 만드는일" 이라 했다,

 

                                          나이 쉰이 되도록 노총각신세 였던 "함민복 시인은 동갑나기 신부를 맞아 결혼을

                                          하였지만 가난과 어깨동무를 하면서 살던 총각시절 "함민복" 시인은

                                          <긍정적인 밤> 이라는 시에서 이렇게 썻다,

 

                                          시 한편에 삼만원이면

                                          너무 박하다 싶다가도

                                          쌀이 두말인데 생각하면

                                          금방 마음이 따듯한 밤이 되네

 

                                          시집 한권에 삼천원 이면

                                          든 공에 비해 헐하다 싶다가도

                                          국밥이 한 그릇인데

                                          내 시집이 국밥 한 그릇만큼

                                          사람들 가슴을 따듯하게 덥혀줄 수 있을까

                                          생각하면 아직 멀기만 하네

 

                                          시집 한권 팔리면

                                          내게 삼백원이 돌아온다

                                          박리다 싶다가도

                                          굵은 고금 한 뒷박인데 생각하면

                                          푸른 바다처럼 상할 마음 하나 없네

 

                                          라고 노래 하였다,

                                          추리소설 <어셔가의 몰락>등 수많은 문학작품을 쓴 <에드거 앨런 포>는

                                          27살에 14살이나 어린 사촌 버지니아와 결혼 했다,

                                          그녀는 가난에 시달리다 24살에 폐결핵으로 세상을 떠났다,

                                          상심한 포 는 <에너벨리>를 썻다

 

                                         아주 멀고 먼 옛적

                                         바닷가 어느 왕국에 

                                         당신이 알지도 모를 애너벨리 라는 소녀가 살았다네

                                         날 사랑하고 내 사랑 받는 것 이외에는

                                         다른 생각 없이 사는 아가씨...

 

                                         이렇게 시작 하는 ,,

                                         에너벨리는 솜사탕처럼 감미로운 목소리를 갖인 <짐 리브스>의 낭송시로

                                         음반으로 출간 되기도 했다,

                                         짐리브스,, 좀 나이드신 분이라면 그의 올드팝  Hell have to go, 를 기억하고 있을것이다,

                                         시인의 아내라고 모두 가난하게 살다 죽은것은 물론 아니지만,,

 

                                         시인과 가난한 아내,, 그리고 글쓰기를 생각하며 김양호 소설 <베트남, 베트남>, 중,

                                         "사랑과 죽음에 대한 단상" 이란 제목의 마지막 편에 이런 내용이 실려있다,

 

                                         ~ 완전한 창조란 신만 할수 있는것이다, 교만한 작가가 잠깐 신의 능력을 흠쳐서

                                         작품을 썻다고 신이 되는건 아니다, 오히려 그는 신의 몫을 훔친 죄로 코카서스 산정에 묶여

                                         날마다 새로 돋아나는 간을 독수리에게 쪼아 먹히는 형벌을 감수해야 한다,

                                         슬럼프는 신이 보낸 복수의 여신이다,

                                         - 중 략 -

                                         빈 원고지 앞의 막막함에 지치면 전생에 인간으로서 용서받지 못할 죄를 저지른 자가

                                         현생에 태어나 피 묻은 손을 다소나마 씻어내기 위해 글쓰기라는 형벌에 처해진 게 아니냔 생각이었다,

                                         그런 생각은 물론 비장함으로 포장한 엄살이다, 탈고한 다음 느끼는 희열을 도외시한 어리광 이다, ~

 

                                         2002, 5 ,5, 나는 창경궁 춘당지로 원앙 촬영을 갔었는데 그곳에서 조병화 시인을 만나

                                         원앙 촬영은 뒤로 미루고 약 1시간 가량 이야기를 나누고 기념촬영도 했었다,

                                         나는 기념사진을 꼭 전해 드리겠다고 약속 했었는데 어찌하다 시간을 보내고 그 다음해 봄

                                         3월 8일 부음소식을 들었다, 나의 약속은 결국 지킬수없게 되었고 지금도 사진을 전해 주지 못한

                                         죄스러운 마음을 갖이고 있다,

 

                                         당시 조병화 시인은 창경궁에서 그리 멀지않은 혜화동에 살고 계셨고 건강이 좋지 않은

                                         상태로 기침을 심하게 하고 있었다, 그날 연못가에 앉아 박인환시인 이야기를 주로 많이 했었다,

                                         가끔씩 조병화 시인과 함께 촬영한 사진을 보며 그의 시를 낭송하며 그날을 추억한다,

 

                                                                                                     2017, 2, 6, 촬영

 

 

 

 

마음정원 부근 얼어붙은 호반에 아침 햇살이 비추어 붉은색을 띠고 있다,

아무도 없는 이른새벽 겨울 호반길을 걸으면서 고니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만 으로도 행복하다,

 

유흥준 교수는 <나의문화유산 답사기> 2권 아우라지강의 회상편 에서

아침 햇살을 받은 정선 조양강이 아름답다 했지만

햇빛 비추는 이른새벽 얼어붙은 남한강의 모습도 아름답다,

 

나는 생뚱맞게도 얼어붙은 남한강을 보면서 젊은시절 즐겨 들었던

기타 연주곡 "써니리버"(Sunny River)"햇빛 비추는강"을 떠 올렸다.

 

 

 

 

 

 

 

 

 

 

'포토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곡지 풍경  (0) 2017.06.30
수덕여관  (0) 2017.06.07
봄을기다리며  (0) 2017.02.11
김상수 수필가의 "제주 올레길 여행수필"  (0) 2017.02.09
코업스타클래스  (0) 2017.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