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토에세이

동백꽃

 

   

 

 

                                                    

                                                    동백꽃

 

 

                                                   동 백 꽃

 

                                                              - 문 정 희 -

 

                                           나는 저 가혹한 확신주의자가 두렵다

 

                                           가장 눈부신 순간에

                                           스스로 목을 꺽는

                                           동백꽃을 보라

 

                                           지상의 어떤 꽃도

                                           그의 아름다움 속에다

                                           저토록 분명한 순간의 소멸을

                                           함께 꽃 피우지는 않았다.

 

                                           모든 언어를 버리고

                                           오직 붉은 감탄사 하나로

                                           허공에 한 획을 긋는

                                           단호한 참수

 

                                           나는 차마 발을 내딛지 못하겠다

 

                                           전 존재로 내지르는

                                           피묻은 외마디의 시 앞에서

                                           나는 점자를 더듬듯이

                                           절망처럼

                                           난해한 생의 음표를 더듬고 있다.

 

 

 

                        문정희 시인의 "동백꽃"을 읽으면서 문득 영국시인 "하우스먼"의 말이 생각났다.

                        - 시를 쓰는 작업은 상처받은 진주조개가 지독한 고통속에서 분비작용을하여 진주를 만드는일 -

                        또, "로버트 프로스트"는 - 무언가 뭉클하고 목구멍에 뜨거운것이 치밀때 시를 쓴다 - 고 했다.

                        19세기의 여류시인 "에밀리 디킨슨"은 - 머리전체가 폭발해 나갈것 같은 느낌일때 글을쓴다 -고 했다.

 

                        나도 무언가 뭉클하고 목구멍에 뜨거운것이 치밀어 오르고 머리 전체가 폭발할것같아 저런시 한줄 써봤으면,

                        문정희 시인처럼 비범한 문재가 나에게도있어 저렇게 아름다운 시한줄 쓸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했다.

 

                        동백꽃이 아름다운것은 한겨울 모진 추위를 견디고 피어나 한순간 꽃봉우리채 통채로 떨어진다는점일것 이다.

                        떨어진 꽃송이 역시 추하지 않고 그 고고한 아름다움을 그대로 지니고 있음은 동백꽃만의 자신에찬 확신이다.

                        그러나 떨어진 동백꽃을 보고 절망처럼 난해한 생의 음표를 더듬는일은 인간이 지닌 자전적 숙명 아닐까?

 

 

 

                                                                                                                         여기 사진속 동백은 <히에말리스 동백>

                                                                                                                         <칸소네트>이며 차나무과에 속한다,

                                                                                                                         Came llia hiemalis Chansonette,

                                                                                                                         2014, 3, 4, 천리포수목원에서 촬영,

 

 

                                                                                                              

 

 

 

 

 

 

 

 

 

'포토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란이 피기까지는  (0) 2014.05.21
봄날의기억  (0) 2014.04.05
국화옆에서  (0) 2013.10.07
심훈의상록수와필경사  (0) 2013.03.29
파블로네루다의 봄  (0) 2013.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