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동물

백로의모정

 

 

 

                                                    

                                                 백로의모정

 

                          해마다 5.6월 쯤이면 백로가 소나무에 둥지를 틀고

                          알을낳고 새끼를 부화 합니다.

                          암수가 교대로 둥지를 지키면서 다른 한녀석은

                          목구멍가득 물고기를 3~7마리 잡아와

                          새끼들 에게 골고루 나누어 먹여주곤 합니다.

 

                          때때로 암수가 교대를 하면서 날개를 활짝펴

                          아름다운 깃털을 보여주기도 하고

                          포옹과 뽀뽀를 하면서 사랑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여기 백로사진은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신점리에서 촬영하였습니다.

                          백로를 촬영하면서 <이범선>의 단편 <학마을 사람들>이 생각났습니다.

                          <학마을 사람들>중 일부를 여기에 소개합니다.

 

 

      ~~~~~~~~~~~~~~~~~~~~~~~~~~~~~~~~~~~~~~~~~~~~~~~~~~~~~~~~~~~~~~~~~~~~~~~~~~~~~~~~~~~~~~~~~~~~

 

 

                          해가 떳다.

                          이윽고 그들은 긴목을 쑥빼고 뾰족한 주둥이를 하늘로 꼳추 올렸다.

                          맨큰학이 두날개를 기지개를 켜듯 위로 올리며 슬쩍 다리를 꾸부렸다 하자

                          삐이르 긴소리를 지르며 흠씰 가지에서 푸른하늘로 솟아 올랐다.

 

                          그라자 다음 다음 다음 다음 차례로 뒤를 따랐다.

                          그들은 멋지게 동그라미를 그으며 마을을 돌았다. 한바퀴 또한바퀴 점점높히 올랐다.

                          이젠 까마득히 하늘에 떳다.

 

                          그래도 삐르삐르 소리만은 똑똑히 들려왔다.

                          마을 사람들은 꺽어져라 목을 뒤로 젖혔다. 두손을 펴서 이마에 가저다 햇빛을 가리우고

                          한없이 높고 푸른 가을하늘을 처다보고 있었다.

 

                          반짝 반짝 다섯개의 은빛점이 한줄로 늘어섰다.

                          마지막 바퀴를 돌고난 학들은 그리던 동그라미를 풀며 방향을 앞으로 잡았다.

                          하나, 둘, 셋, 넷, 다섯, 점이 하나씩 남쪽 영마루를 넘어 사라젔다.

                          마을 사람들은 한참이나 그대로 말없이 그 학들이 사라진 곳을 쏘아 보고들 있었다.

 

 

                          그 해에도 골짜기의 눈이 녹고 진달래가 피자 학이 찾아왔다.

                          예년처럼 부지런히 집을틀고 새끼를 깠다.

                          두마리의 어미학은 쉴새없이 벌레를 물어 올렸다.

                          그때 두마리 새끼가 노랑 주둥이를 내둘렀다.

                          올해에도 평년작은 된다고들 우선 흉년을 면한것을 기뻐했다.

 

                          그러던 어느 비내리는 아침이였다.

                          학나무밑에 아주 어린 새끼 한마리가 떨어저 죽었다.

                          아직털도 채 다 나지않은 학의 새끼는 머리와 눈만이 유난히 컸다.

                          " 허 그 참 흉한 일이로군 "  이장영감과 박훈장은 몹시 불길한 예감에 사로잡혔다.

                          이런일은 적어도 그들이 아는 한에서는 일찌기 없던 일이였다.

 

                          참새는 긴 장마철에 미처 먹이를 댈수없으면 그중 약한 제새끼를 골라

                          제주둥이로 물어 내버리는수가 있다. 

                          그러나 학이 그런 잔혹한 짖을 한일은 보지못했다.

                          그건 필시 무슨 딴 짐승의 짖이라 했다.

                          어쨋든 그게 학 자신의 뜻에서였건 또는 딴 짐승의 짖이건 간에

                          이제 이 학마을에는 반드시 무슨 참변이 있을 게라고

                          다들 말 없는가온데 더욱더 무거운 불안을 느끼고들 있었다.

 

 

 

 

 

 

 

 

 

 

 

 

 

 

 

 

 

 

 

'조류·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의진객  (0) 2014.01.06
쇠물닭  (0) 2013.06.24
어 치  (0) 2013.04.13
단정학  (0) 2013.01.30
단정학-2  (0) 2012.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