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공연·예술

김시영 도예전/비밀스러운 흑빛 그리고 영롱한





                                                                       

                                                                   김시영 도예전


                                                      - 비밀스러운 흑빛 그리고 영롱한 -


                                        전시일시 / 2019, 4, 30,(화) ~ 6, 15,(토)

                                  전시장 / 전철 2호선 삼성역 4출구 / 슈페리어타워 B1 갤러리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528

                                               전화 / 02-2192-3366

                                  작업실 / 강원도 홍천군 서면 모곡리 228-7

                                               전화 / 033~434~2544

                                        작업실 방문을 원하시는 분들은 2주전에 홈페이지를 통하여 방문신청예약 요망,

                                                     홈페이지 / www.kimsyyoung.com

 


                                        청곡(淸谷) 김시영(金時泳)


                                        김시영, 그는 흙을 빚어 검은 도자기를 만드는 예술가다,

                                        도예장인 김시영은 두딸 자인, 경인과 함께 검은 도자기

                                        흑유(黑釉)를 만들어 온 21세기 도공이다,


                                        도예장인 김시영(61)씨의 개인전 "비밀스러운 흑빛 그리고 영롱한"이

                                        서울 대치동 슈페리어갤러리에서 6월 15일까지 열리고 있다,

                                        요번 전시회는 슈페리어 갤러리 세번째 기획전시 행사이다,


                                        검은 도자기 '흑자(黑瓷)'를 빚는 작가로, 전통 흑자 복원에 몰두한

                                        초기작품 부터 도자회화 및 추상 조각 등 신작까지 47점을 망라했다.


                                        "검은색 안에 모든 색이 숨어 있다" 라고 말하는 작가의 흑자는

                                        오색(五色)의 스펙트럼을 아름답게 발산한다.

                                        특히 '태양을 집어삼킨 달항아리'라 불리는 흑자 달항아리는 1300도 이상

                                        고온에서 미세한 불의 분위기에 의해 창조된다. 

                                     

                                        김시영은 가평읍내에서 태어나 7살에 서울에 유학 하숙집에서

                                        일찌감치 예술의 눈을 떴다, 하숙집주인 두남 이원영은 서예가 였는데

                                        흑유의 존재를 알려주며 "크면 꼭 흑유를 만들어보라" 라고 귀에 못이

                                        박히도록 당무의 말을 했었다,

 

                                        김시영은 용산공고 금속과와 연세대 금속공학과에서 불과 철을 배웠다,

                                        군대를 다녀와서 국립공업연구소 도자기시험소 연구원으로 신소재를

                                        연구 했고 다시 연대 대학원 세라믹공학과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두딸 자인, 경인은 이화여대 미대 조소과와 서울대 미대 조소과를 나와서

                                        아버지와 함께 지금 도자기를 만들고 있는 2대 젊은 도공이 되었다,

                                    

                                        김시영이 말했다,

                                        ~ 흑유는 불길의 성격에 따라 색과 무늬가 크게 달라 진다,

                                        유약과 흙이 변성이 되면서  삼라만상이 창조되는 것이다,

                                        몇번 맛을 보면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지금 김시영은 가평 고령토와 규석과 장석과 모래를 어떻게 배합해야 하는지

                                        알고 있으며 불색깔을 보고 온도를 알수 있으며 흙을 몇번 두드려야 알맞은

                                        그릇이 될수 있는지 그 느낌만으로 알수 있게 되었다,

                                                                              

                                                                                2019, 5, 16, 촬영,





                                                                           슈페리어 갤러리를 찾아 갔을때 모 백화점 프로그램 행사로

                                                                               김시영 장인의 도예 세미나와 말차 시연을 하고 있었다,










                                                                                                          청곡 김시영


                                                             화염의 연금술사’라는 평을 받고 있는 김시영은 검은 도자기인 흑자의 재현으로 작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김시영은 단순한 재현에만 머물지 않고 ‘불’이라는 자연력과 ‘흙 속의 광물질’이라는 물성

                                                             (物性)의 결합에 의한 변화에 주목하며 30여 년 간의 작업을 전개하고 있다. 김시영의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행위는 ‘불 때기’이며 작업의 핵심 요소는 ‘불’이다.

 

                                                  김시영의 흑자에서 불 때기란 단순한 자화(瓷化)의 목적에서 나아가 흙속에 숨어있던 다양한

                                                  광물질들을 깨우는 과정이다. 흑자 표면의 변화무쌍한 무늬와 색감을 ‘요변(窯變)’이라고

                                                  하는데,이것은 흙속의 성분과 불의 온도,그리고 온도에 따른 ‘불의 분위기’ - 적절한 시기의

                                                  맑고 탁함 - 를 조절함에 따라 생성과 소멸을 반복한다. 전통 흑자의 재현에 집중했던 작업 초기

                                                  이후의 15년 동안 김시영은 요변이 생성되는 순간을 조절하고 불의 환경을 만들어주는 작업에

                                                  매달렸다.

 

                                                  1300도라는 높은 온도와 오랜 소성 시간,그리고 여러 차례 반복되는 가마 작업은 표면의 변화

                                                  뿐만 아니라 작품의 형태에도 큰 영향을 준다. 이 시기부터 김시영의 작업은 경직된 형태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역학적인 조형성을 띠기 시작한다. 성형 시 항아리의 위아래를 접합하는 방법은

                                                  예측하기 어려운 형태의 변화를 이끌고 작품은 고온의 가마 안에서 더욱 뒤틀린다. 이 방법을

                                                  사용해 만든 김시영의 달형항아리는 역동적인 조형 작업의 시발점이 되며 점점 무정형에 가까운

                                                  형태로 치닫는다. 최근 김시영은 여름과 겨울의 기후에 반응하는 성형방법을 시도하고 있고

                                                  국내외의 지질학 연구에 입각하여 다양한 흙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있다. 불과 흙을 마주한

                                                  30 여 년 간 세월과 그동안의 연구가 집약된 김시영의 작품은 보는 이에게 깊은 울림을 줄 것이다.

 

 



                                                                                   달 항아리 앞에선 청곡(淸谷) 김시영(金時泳)


                                   淸谷 金時泳 ~~~~

 

                                   그 어떤 도자기 보다도 불에 민감한 흑자만을 30여년 고집해

                                   작업하고 있는 김시영은 1,300도가 넘는 고온의 미세한 불의 조절로써

                                   흙 속에 숨어 있던 다양한 광물질들이 자신의 색을 발할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일본에서 천목이라 불리고 한국에선 고려시대 이후 거의 명맥이 끊어진 흑자,,

                                   김시영은 1988년 청평요를 시작으로 가평요, 그리고 김시영흑자연구소로 발전해 가며

                                   옛 흑자의 재현과 나아가 김시영만의 독창적인 도자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김시영흑자의 빛깔은 안료로 만든 화학적 색채가 아니라 자연의 영역인 흙이

                                   과학적인 실험과 탐구로 축적된 불길과 만나 이루어진 예술과 과학의 결정체이다,

 

                                   김시영은 흑자달항아리 흑자다완과 도자회화작업을하며 2011년 일본미술구락부

                                   미술가명감에는 다완평균 감정가 100만엔으로 책정되어 있다,

                                   김시영의 작품은 다수의 해외전시로 세계인에게 사랑받고 있으며

                                   국빈 선물로도 애용되고 있다,




                                                                                                     전시회 알림 리플렛


                         김시영은 1958년에 태어나,일본에서 서도가로 활동한 아버지를 통해 일본의 도자문화와 먹의 검은 색을 접하였다.

                         그는 용산공업고등학교에서 용광로 속 화염이 물질을 변화시키는 모습에 경이로움을 느꼈다. 그 후 연세대학교

                         금속공학과와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세라믹학 석사 과정을 통해 불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하게 된다.

                         작가는 대학 산악부 활동을 하며 자연스레 흙과 돌을 만났고,특히 알프스 산맥에서 광물질이 다량으로 함유된

                         전혀 새로운 암석을 발견하면서 이로부터 직접적인 영감을 얻게 되었다. 그 후 일본의 국보인 송요변다완(宋窯變茶碗)

                         과의 만남이 작가가 물질에 대한 탐구를 도자 작업으로 풀어내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고려시대 이후 명맥이 거의 사라진,우리나라의 전통 흑색과 적갈색을 띤 흑자를 재현하기 위해 흙과 불에 대한 연구를

                        하던 김시영은 1988년 전통 장작가마를 짓고 본격적으로 전업 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그는 1997년 잠실 롯데갤러리에서

                        그의 첫 번째 개인전을 개최하였고,거기서 이어진 정양모 전(前)국립중앙박물관장과의 인연은 작업의 학문적,

                        역사적인 폭이 넓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 시기에 작가는 우리나라 전통 흑자의 재현뿐 아니라 도자 작업의 계기를

                        마련해준 송요변다완의 재현을 성공하기에 이른다.

 

                        김시영의 흑자에서 불 때기란 단순한 자화(瓷化)의 목적에서 나아가 흙속에 숨어있던 다양한 광물질들을 깨우는 과정이다.

                        흑자 표면의 변화무쌍한 무늬와 색감을 ‘요변(窯變)’이라고 하는데,이것은 흙속의 성분과 불의 온도,그리고 온도에 따른

                        ‘불의 분위기’ - 적절한 시기의 맑고 탁함 - 를 조절함에 따라 생성과 소멸을 반복한다. 전통 흑자의 재현에 집중했던

                        작업 초기 이후의 15년 동안 김시영은 요변이 생성되는 순간을 조절하고 불의 환경을 만들어주는 작업에 매달렸다.

 

                        전 국립중앙박물관장 정양모 선생은 김시영을 ‘수도자적으로 작업하는 도예가’라 칭했다. 본디 공학을 전공했던 김시영은

                        과학적인 태도로 작업에 임하였다. 불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가마 안의 분위기가 변화무쌍한 등유가마를 이용하여

                        매일 1300도의 불길을 세심하게 수정하길 20여년,김시영은 3000여 번의 가마 작업 끝에 작가만의 독특한 색감과

                        질감의 요변을 탄생시켰다. 어둠속에 피어나는 잔잔한 변화들은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신비로움과 묵직함을 느끼게 해주며,

                        작가는 이를 다완과 항아리에 담아 2010년 세종문화회관 개인전에서 선보였다.





                                                                                            청곡(淸谷) 김시영(金時泳) 프로필





                                                                                            청곡 김시영과 그의 딸 2대도공 김자영

                                                                                              김자영 / 이화여대 미대 조소과 졸업









김시영 / 상록수


나와 김시영 도예장인과의 인연은 3년전 201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김시영의 가평요를 처음 찾아간것은 2016, 1, 16, 가평요 오프닝을 앞두고

조선일보를 통해 15명을 초청한 오픈하우스 행사에서 였다,

 

                                                                      음악과 사진을 좋아하는 나는 흙과 불의 예술인 흑자의 아름다움을

                                                                                     직접 보고 새로운 예술세계를 발견 하였다,

                                                                         요번 전시회 "비밀스러운 흑빛 그리고 영롱한" 을 둘러보고

                                                                  그동안 더욱 눈부시게 발전한 김시영흑자의 세계를 확인할수 있었다,

                                       




                                     청곡 김시영은 화전민 터에서 발견한 흑자 파편에 매료되어

                                     흑유자기 전문가마인 가평요를 설립하게 되었다,

 

                                     그는 많은 학자들과 중국, 일본의 사료를 바탕으로 양질의옹기 산지였던

                                     가평지역의 고령토, 장석, 규석, 사토등을 사용하여 1300도 이상의 고온의 정교한 작업으로

                                     흑자를 재현하기 위해 오랜세월을 바쳤다,

 

                                     그는 고려흑자와 요변으로 우주의 비색을 나타내는 송나라 흑자등

                                     옛것의 재현을 넘어서 보다 독창적인 흑자세계를 창조하고 있다,

                                     화염의 예술 이라는 도자예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흑자는 가마속의 불과

                                     분위기에 매우 민감하여 고된 작업이 수반되며 그만큼 희소가치가 높다,

 

















































                                                            백자부 (白磁賦)

 

                                                                                  - 김상옥 -

 

                                                  찬서리 눈보라에 절개 외려 푸르르고

                                                  바람이 절로 이는 소나무굽은 가지

                                                  이제 막 백학 한 쌍이 앉아 깃을 접는다,

 

                                                  드높은 부연 끝에 풍경 소리 들리던 날

                                                  몹사리 기다리던 그린 임이 오셨을 제

                                                  꽃 아래 빚은 그 술을 여기 담아 오도다,

 

                                                  갸우숙 바위 틈에 불로초 돋아나고

                                                  채운 비껴 날고 시냇물도 흐르는데

                                                  아직도 사슴 한 마리 숲을 뛰어 드노다,

 

                                                  불 속에 구워 내도 얼음같이 하얀 살결

                                                  티 하나 내려와도 그대로 흠이 지다,

                                                  흙 속에 잃은 그 날은 이리 순박 하도다,

 

 

                                       * 부연(附椽) ; 긴 서까래 끝에 덧얹어 높이 솟게만드는 서까래,

                                       * 채운( 彩雲) ; 빛갈이나 무늬가 있는 구름









                                                                   '태양을 집어삼킨 달항아리'라 불리는 흑자 달항아리는

                                                                      1,300도 이상 고온에서 미세한 불의 분위기에 의해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달항아리로 창조된다. 

                                     




                      여주, 이천 ,가평 지역은 양질의 고령토, 규석, 장석이 생산되어

                      옛부터 한국의 도자기 산업이 발달 하였다,

 

                      중국 장시성(江西省)경덕진은 중국은 물론 세계적으로 유명한 도자기 생산지이다,

                      경덕진은 창강(昌江) 남쪽에 있다고 해서 옛이름이 창남(昌南)인데 여기서 차이나(China)가 유래 하였다 한다,

                      결국 china가 도자기 라는 뜻이고 도자기의 본고장인 창남의 중국어 발음 "창난" 이 "차이나" 가 되었다는 것이다,

 

                      경덕진은 한나라때부터 도자기를 생산하여 송나라때에 그 전성기를 이루었다,

                      송나라의 진종황제가 특히 경덕진의 도자기를 좋와해서 경덕원년(1004) 이곳에 진(鎭)을 설치하고 감독관을 파견하여

                      도자기를 조정에 공납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셍산된 도자기 밑면에 경덕년제(景德年制)라는 글자를 넣토록 명했기 대문에 훗날 이곳의 지명이 경덕진이 되었다,

                      원나라때에는 이곳에 도자기 생산을 관리 감독하는 기구인 부량자국(浮梁瓷局)이 설치 되었고 명나라때에 새로 청화백자를

                      개발하는등 도자기 산업이 발전하게 되었다,

                      명나라때 이곳의 관요가 58개, 민요가 수백개, 종사하는 인원이 40만명에 달했다 하니 경덕진의 도자기 산업이 어떻했는가

                      짐작할수 있다,

 

                      경덕진의 도자기가 우수한 품질로 인정받을수 있는데는 그 원료인 고령토 때문이다,

                      고령토가 생산되는 고령산은 경덕진 시에서 동북쪽 40km지점에 있다,

                      고령토는 점성이 강하고 견고하여 1,300도 이상의 고열에도 견딜수 있다,

 

                      이 고령산의 자토가 얼마나 배합 되었는가에 따라 자기의 품질이 좌우한다,

                      1712년 프랑스의 전도사 "은특례과리사" 가 편찬한 <중국도자견문록>에서 처음으로 고령토를 소개했고

                      이어 독일인 이희곽(李希霍)이 이를 "kaolin"으로 음역한후 고령토는 질좋은 도자기를 만드는 흙의 대명사로 통칭 되었다,

 

                      참고로 명나라 송응성(宋應星)의 "천공개물"(天工開物)(1637)에 경덕진 도자기에 대한 이런기록이 있다,

                      ~ 흙은 무원과 기문에 있는 두 산에서 난다, 고령산 이라는 곳에서는 멥쌀토가 나오는데 그 성질이 굳고 강하며,

                      개화산 이라는곳 에서는 찹쌀토가 나오는데 그 성질이 떡처럼 연하다, 두가지 흙이 섞여서 자기가 완성돤다,~

 

                      참고문헌 "송재소" 저 "시와 술과 차가 있는"<중국인문기행> 창비 p108 ~ 117

 




                                     상감기법이 청자에 응용된 것은 고려가 이룩한 독창적인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청자 발생 이후 9세기 후반경에는 백자의 생산도 시작 되었다.

                                     당시 백자는 기술과 장식의장, 조형적인 요소까지 청자와 유사했고 제작도

                                     청자와 같은 요장(窯場)에서 동시에 이루어졌다. 따라서 태토(胎土)만 백색이지

                                     유약은 같은 회청색을 띠는 청자 유약을 사용했다.


                                     흑자(黑磁)는 다갈색이나 흑색으로 나타나는 철유(鐵釉)를 씌운 것으로

                                     청자의 발생과 함께 적은 양이 고려시대 때에 생산되었다. 발생기의 흑자는

                                     회유도기의 기술과 조형을 충실히 계승 했지만 청자의 기술이 고급화 되면서

                                     청자의 태토 위에 흑유를 씌우는 방법으로 발전되어 조선시대까지 제작 되었다.

                                     현대에 이르러 청곡 김시영 장인이 조선시대의 흑자를 더욱 창의적으로 발전시켜

                                     흑자의 금자탑을 세웠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말차 설명 / 말차시연

 

                                                           흔히 중국차를 찻잎의 형태에 따라 산차(散茶). 말차(末茶), 병차(餠茶)로

                                                                                   분류 하는데 오늘 시음은 말차 이다,

                                                             중국차는 여러가지 기준을 종합해서 녹차, 홍차, 오룡차, 백차, 황차,

                                                                                  흑차, 화차등 7가지로 통상 분류한다,


                                                                                   참고로 중국 10대명차를 소개하면,,

                                                                    1, 용정차, 2, 벽라춘, 3, 황산모봉, 4, 군산은침, 5, 여산은무,

                                                          6, 기문홍차, 7, 육안과편, 8, 신양모첨, 9, 무이암차, 10,안계철관음, 등이다,

 

 













                                                                       흑유다완에 향이 살아있는 말차를 덜어 넣는다,

                                                                 말차 특유의 향이 싱그럽게 온방안 가득 순식간에 퍼진다,

                                                                옛날 우리나라 수신사가 일본에 가면 말차를 대접 받았다,

                                                          말차는 차중에서 최상급으로 가장 좋은 차를 1차가공으로 만들었다,

                                                                              그렇게 쉽게 맛볼수 있는 차가 아니다,

                                                     우리나라는 조선시대 조용조 라해서 차를 조공으로 바친 역사적인 기록이 있다,

                                                                 말차를 마실때는 먼저 다완을 감상하고 차의 향을 느낀후

                                                                 차를 한모금씩 마시고 옆 사람에게 돌려 마시는 습관이 있었다,

 














                                                                                               김시영장인 흑자 세미나




















'음악·공연·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성사 불사리탑 점안 봉안법회 -2  (0) 2019.05.28
고성사 불사리탑 점안 봉안법회 -1  (0) 2019.05.28
청란교회 마실음악회  (0) 2019.05.05
이왈종미술관  (0) 2019.04.26
2019 양평의 봄 콘서트  (0) 2019.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