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유적·문화재

2018 정릉 신덕왕후 기신제





                                                                        

                                                                 2018년 제622주기

                                                             정릉 신덕왕후 기신제


                                            태조 고황제의 계후 신덕고황후 강씨 기신제

                                            일시 ; 2018, 9, 21,(금) 12;00

                                                  원 기신제일은 매년 양 9월 23일 인데 추석연휴로 인하여 변경,

                                            장소 ; 서울 성북구 소재  세계문화유산 정릉,

                                           

                                            가을비가 촉촉히 내리는 가온데 성북구 소재 세계문화유산 정릉에서

                                            정릉봉향회 관계자, 전주이씨 광평대군파 종회 종친여러분을 비롯한

                                            문화재청 관계자,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관계자, 등 내빈 500여명이

                                            참석한 가온데 정릉제향을 책임지고 있는 전주이씨광평대군파 종회

                                            주관으로 신덕고왕후 강씨 기신제를 성대하고 엄숙하게 봉행 하였다.

 

                                            정릉(貞陵)은 조선 1대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 의 능이다,

                                            신덕왕후는 상산 부원군 강윤성의 딸로 태조의 계비이다.

 

                                            신덕왕후의 가문은 고려의 권문세가로 태조 이성계가 중앙정계에 진출하여

                                            정치 영역을 넓혀 조선을 건국하는데 중요한 역활을 담당했다.

                                            태조의 원비는 신의왕후 였으나 태조 즉위 전인 1391년(고려공양왕3년) 세상을

                                            떳기 때문에 신덕왕후가 조선 최초의 왕비로 책봉되었다.

 

                                            신덕왕후는 태조와 원비 신의왕후 사이의 장성한 여섯 아들을 제치고

                                            자신의 아들 2남 방석을 세자로 책봉하는데 성공했을 정도로 정치적 역량이

                                            뛰어난 인물이였다.

 

                                            태조와의 사이에서 방번, 방석 두 아들과 경순공주를 두었으며

                                            태조는 신덕왕후를 극진히 사랑했다고 전한다.

                                            1396년 병환으로 승하 하였으며 태조는 신덕왕후의 명복을 빌기위해

                                            흥천사를 세웠다. 현재 흥천사는 정릉 인근에 있다.


                                            태조5년(1396년) 신덕왕후께서 병환으로 승하하자 태조께서는

                                            몹씨 슬퍼하시여 제왕의 위엄도 잊고 통곡을 하였고 능지는

                                            도성안 현재의 중구 정동 에 정하고 신덕왕후 봉분을 우측에

                                            태조의 수릉은 왼쪽에 미리 정해 놓았다 한다.

                                            태조가 승하 하시자 건원능에 모시고 정릉은 1409년 태종 방원이

                                            지금의 성북구 정릉 위치로 천장을 하였다.

 

                                            정릉이 지금의 장소로 옮겨진후 210년이 지난 선조14년(1581)에

                                            정릉의 회복에 대하여 조정에서 논의가 있었고 260년이 지난

                                            현종10년(1899) 관중추부사 송시열의 건의로 종묘에 배향 되었고

                                            정릉이 회복되어 의례에 의한 위엄을 갖추고 능제를 올리게 되었다.

 

                                            신덕왕후는 당연히 자신의 아들이 태조의 뒤를 잇기를 바랐다.

                                            정도전 ,남은 등 당대의 쟁쟁한 개국공신들이 자신의 편이였고

                                            태조역시 자신의 뜻을 따랏으므로 차남 방석을 세자로 세울수 있었다.

 

                                            그러나 1396년 신덕왕후는 갑자기 세상을떳고  2년뒤 태종 이방원이

                                            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방번, 방석 두아들은 무참히 죽임을 당하게 되었다

                                            현재 방번의 능은 강남구 수서동 전주이씨 광평대군파 묘역에 있다,


                                                                                       2018, 9, 21, 촬영,






                                         정동과 정릉에 숨어있는 하륜의 정치풍수


                     1396년 신덕왕후는 세상을 떠났다, 태조는 신덕왕후 무덤을 현재의 영국대사관과 조선일보

                     사옥이 있는 그 부근 일대를 능역으로 잡았다, 훗날 자신도 죽으면 그곳에 묻힐 요량 이었다,

                     그렇개 해서 생겨난 이름이 정릉이고 그 일대는 정릉동(정동)이란 이름이 붙혀젔다,


                     정릉은 따라서 태조의 수릉(壽陵)이기도한 셈이었다, 그후 왕자의 난을 일으킨 이방원이

                     임금(태종)이 되자 계모 신덕왕후가 묻힌 정릉 영역을 대폭 축소 시켜버렸다, 능역이 너무 넓다는

                     이유에서였다, 이를 기회로 능역 주변의 좋은 땅들을 세력가들이 다투어 차지해 버렸다,

                     이때 하륜과 그 사위들이 기장 좋은 땅들을 선점 한다, 능역 축소를 하륜이 주도했음을 암시하는

                     대목이다,


                     태조가 태상왕으로서 아직 살아 있을때였다, 그는 살아 생전에 아들 방원에의해 자신의 수릉이

                     침탈 당하는 수모를 격어야 했다, 1408년 태조는 쓸쓸히 죽었다, 그러나 그는 사랑했던 신덕왕후의

                     무덤이자 자신의 수릉이기도한 정릉에 묻히지 못했다, 그렇다고 첫번째 부인이자 태종 방원의 친모인

                     신의왕후 무덤(개경)옆에도, 또 고향인 함흥에도 묻히지 못했다, 하륜이 모든것을 틀어버린 것이었다,


                     하륜은 태종 방원이 신임했던 당대의 풍수가 였다, 하륜은 태조의 무덤을 구리 건원릉으로 결정했다,

                     몰론 풍수설에 따라 당대 최고의 길지를 잡은것은 분명해 보인다, 조금은 미안한 마음이 있었던지

                     무덤위에 고향 함흥의 억새를 가저다 심어주었고 지금도 여전히 남아 있다,


                     태종 방원의 아버지 태조와 계모 신덕왕후에 대한 홀대는 그뿐만이 아니라 태조가 죽은 일년후인

                     1409년 정릉을 현재의 성북구 정릉동으로 옮겨 버렸다, 서울에 두개의 "정릉" 이란 지명은 이때부터

                     생겨났다, 처음부터 태종과 태종이 신임한 풍수가 하륜의 합작품인 셈이었다,




                                                                                재실에서 제관들이 제향 준비히는 모습

                                                            양복 입은분 / 전주이씨 광평대군파 임정부정 종회회장 이원하





                                                                                   제관일행 재실에서 제향 준비중










                                                                                                 제관일행 재실에서 기념촬영





                                                                             재실안에 모셔저 있는 혼백을 모시러 제관일행이 입실하고 있다















                                                                       맨우측 / 초헌관 이의종 ; 전주이씨 광평대군파종회 전 이사장





                                                                                     재실안에 있는 혼백을 초헌관이 모시고 있다,










                                                               제관일행이 봉동을 앞세우고 재실을 떠나 정자각을 향하여 출발



















































































































                                                                                                신덕고황후 능침


                                         신덕왕후 릉 봉분에는 난간석과 병풍석이 없으며 혼유석, 문인석, 석마, 각각 1쌍의 석양과 석호가 있다.

                                         조선 초대 국모의 능이라 할 수 있는 정릉은 다른 왕비의 능에 비해 상설의 규모가 작고 초라하며 석물도

                                         원형이 아닌듯 하다, 고려 공민왕릉 양식을 충실히 따른 사각 장명등과 혼유석을 받치는 두 개의 고석만

                                         옛 능에서 옮겨온 것인데 장명등은 상부의 주두가 사라졌다. 당초 능을 조성했을 때는 화려한 병풍석과

                                         난간석은 물론 무인석까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정릉재실


                                                    정릉 재실 복원에 대하여

 

                           1960년대 멸실되었던 서울 정릉의 재실(齋室, 제사를 준비하는 곳)을 3년에 걸쳐

                                복원 완료하고, 지난 2015, 3, 25,준공식을 가졌다,

                                정릉은 조선 제1대 왕 태조의 계비(繼妃)인 신덕왕후 강씨의 능으로, 원래의 자리는

                                당시 도성 내였던 중구 정동 이었으며 규모도 현재보다 크고 화려 하였다.

 

                                하지만 태조의 정비(正妃)였던 신의왕후 한씨의 아들인 이방원이 태종으로 즉위(1400년)하고

                                태조가 승하(1408년)하면서 1409년 현재 자리로 이장 되었고 그 규모도 대폭 축소 되었다. 

                                이후 정릉은 폐허처럼 방치 되었다가 1669년(현종 10)에 정비 되었고 1900년에 재실을 다시

                                지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었으나, 초석만 남기고 1960년대 멸실 되었다. 


                                문화재청은 2009년 조선왕릉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후 능제복원 차원에서 2012년 재실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 하였다. 조사를 통해 1788년에 발간된 춘관통고(春官通考)의 기록과 일치하는

                                6칸 규모의 재실터와 건물 배치 등 양호한 형태의 유구를 확인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 같은 발굴조사 결과와 사료를 바탕으로 2012년부터 3년간 정릉 재실의 본채, 제기고, 행랑,

                                협문(3개소)과 담장 등을 관계 전문가 자문, 문화재위원회 검토 등을 거쳐 총 사업비 15억 원을

                                투입하여 복원 하였다. 


                                문화재청은 재실 복원을 통해 조선 왕릉이자 세계유산으로서 정릉의 진정성을 회복하고 역사성과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한편, 국민들과 함께할 수 있는 공간 창출을 통해 그 본연의 가치를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릉 재실에 걸려있는 무쇠가마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