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유적·문화재

쌍상여호상놀이

 

 

 

 

                                                            

                                                      쌍상여호상놀이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0호

                                   강동구 바위절

                                   쌍상여호상놀이

                                   일시 ;2015,10,10,(토) 16;00

 

                                   바위절마을 암사동(岩寺洞)은 서울시의 남동단에 위치하며 광나루 동편에

                                   거북이와 닮은 절이있어 거북구(龜)를 사용하여 구암사(龜岩寺)라 하였으며

                                   속칭 바위절 이라고도 하였는데 그 한자 이름으로 암사리(岩寺里)라 한데서

                                   유래 하였다,

 

                                   바위절 마을 에서는 매년 호상놀이 재연공연을 해왔고 1995,10, 6, 강동구민회관에서

                                   동서울상고까지 광복 50주년기념 호상놀이 재연공연때 서울시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1996, 9, 30, 서울시무형문화재 제10호(예능보유자 이종천, 이재경)로 지정되었다,

 

                                   호상놀이는 출상 - 상여놀이 - 노제 - 징검다리 건너기 - 외나무다리 건너기 - 달구질 의

                                   순서로 구성 되어있다,

 

                                   1, 초혼 ; 복혼은 죽음이 확인되면 고인이 평소입던 웃옷을 들고 지붕위에서 북쪽을 향하여

                                      옷을 흔들며 망자의 이름을 부르며 복,복,복 하고 세번 부르는 의식이다,

                                   2, 조장놀이 ; 출상 전날 빈 상여를 메고 노는 놀이로써 출상시 험난한 산행길을 무사히 갈수 있도록

                                      선소리꾼과 상여꾼들이 만가를 부르며 발을 맞춘다, 상여가 대문앞에 도착하면 온가족이 나와 세번

                                      절하고 가시는길 편히 가시도록 노자돈을 두둑히 걸어준다, 그리고 술과 음식을 대접하는 놀이 이다,

                                   3, 출상 ; 출상일 망인이 상여에 운구되면 상주, 복재기 들이 발인제를 지낸다, 발인제가 끝나면 상여꾼들이

                                      상여옆에 도열하고 선소리꾼이 상여 주위를 돌며 요령잡이 소리를 구슬프게 부르면 상여군들은 상여를

                                      메고 일어선다, 이때 이 고장 특유의 농악 악사가 향토가를 부르면서 선두를 이끌고 집을 떠난다,

                                   4, 상여 ; 상여가 집에서 발인된 뒤의 배열은 악사, 명정, 만장기, 상여, 상주, 복재기, 조객 순으로 길을

                                       떠나는데 상여꾼들이 이 마을 특유의 선소리를 주고 받으며 상여가 뒤로 밀리는듯 앞으로 나가는 모습은

                                       마치 강물이 출렁이는 모습과 같아 보기에 매우 흥미롭다,

                                   5, 발인제 ; 상여가 장지로 떠나는 것으로 관을 상여에 싣고 장지로 운반하는 행상의 절차이다, 발인제는

                                       망자의 시신이 상여에 옮겨지고 출상 하기전 모든 준비과정을 마친후 상주들과 친척들이 올리는 제이다,

                                   6, 노제 ; 상여가 장지를 향하여 가는 동안 미처 상가를 찾지못한 빈객, 조객은 상여뒤를 따라간다,

                                      상여는 망인이 살아 생전 친히 지내던 사람의 집앞이나 자기소유 전답의 마지막을 지나칠때 잠시 쉬는데

                                      이때 길거리에서 제를 올리고 빈객, 조객은 마지막으로 문상을 하게 된다,

 

 

                                   상여는 죽은 망자가 저승으로 갈때 타고가는 꽃가마 이다,

                                   옛날에는 시골마을 뒷산 외딴곳 성황당부근에 토담으로 상여집을 짖고 상여를 보관하고 있다가

                                   마을에 초상이 생기면 상여를 꺼내어 사용하곤 하였는데 상여집 부근을 지날때는 머리가

                                   쭈빗해지며 소름이 돋았는데, 특히 비가 오거나 날이 궂은날은 여간 무서운것이 아니었다,

                                   요즘엔 시골에 가도 상여집을 쉽게 볼수없는 사라저가는 풍물이 되엇다,

                                   바위절 쌍상여놀이를 보면서 어릴때 자랐던 시골 고향마을 상여집을 떠 올렷다,

 

                                                                                                   2015, 10, 10, 촬영,

 

 

 

 

 

 

 

 

 

 

 

 

 

 

 

 

 

 

 

 

 

 

 

 

 

 

 

 

 

 

 

 

 

 

 

 

 

 

 

 

 

 

 

 

 

 

 

 

 

 

 

 

 

 

 

 

 

 

 

 

 

 

 

 

 

 

 

 

 

 

 

 

 

 

 

 

 

 

 

 

 

 

 

 

 

 

 

 

 

 

 

 

 

 

                                                                           강동구바위절 호상놀이 보존회 회장 이종천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0호 보유자 이종천

 

 

 

 

 

 

 

 

 

 

 

 

 

 

 

 

 

 

 

'종교유적·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곡사  (0) 2015.10.24
휴휴암  (0) 2015.10.22
능인선원서울약사여래대불  (0) 2015.09.24
대한성공회서울주교좌성당  (0) 2015.09.05
광평대군묘역  (0) 2015.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