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경

제주시 한림읍 귀덕2리





                                                                         

                                                               제주시 한림읍 귀덕2리


                                            제주시 중심부에서 일주도로를 따라 서쪽으로 26㎞떨어진 곳에

                                            동서로 직사각형을 늘어 놓은 것처럼 마을이 형성되어 있으며

                                            풍요로운 해안을 끼고 반농반어의 부지런한 사람들이 사는

                                            마을이다,


                                            따뜻한 계절에는 풍요로운 바다에 나가 어업에 종사하고

                                            해녀는 해산물을 채취하고 청정해역을 중심으로 생산되는

                                            싱싱한 어류와 해초류는 찾아오는 내방객의 풍미를 자극한다,.


                                            귀덕2리 포구에서 바라보는 석양과 맑고 푸른 청정해역이 있는

                                            귀덕2리, 제주여행에서 빼놓을수 없는 숨겨둔 관광지이다,


                                            굼둘애기물은 귀덕2리 라신동의 동쪽 해안가에 있는 용천수이다.
                                            귀덕2리 장로동과 라신동의 경계를 이루는 해안가 풍체앞에 위치해

                                            있는 이 굼둘애기물은 바위틈에서 생수가 솟아올라 언제나 깨끗하고

                                            시원하며 물이 풍부하여 여름철과 백중날 이곳에서 목욕하고 물맞으면

                                            잔병이 없어진다는 약수(藥水)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여름철이면 목욕하고 물맞으러 이곳에 오는 이웃마을 사람들의 수가

                                            인산인해(人山人海)를 이루었다. 이 물은 설촌당시부터 물맛이 좋아

                                            마을사람들이 식수로 또는 생활용수로 이용하여 왔으나 1970년대초

                                            마을에 상수도 시설이 설치 되면서부터 이 물은 여름철 목욕용(沐浴用)

                                            으로만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 굼둘애기물이 있는 풍체앞 부근에는 해운사(海雲寺)라는 절이 있다.

                                            이 절에서 축일에 신도들이 불공을 드릴때는 이 풍체앞 굼둘애기물 부근

                                            에서도 불공을 곁들인다. 그리고 이 물앞 크고 둥근바위(움직일 수 있는 바위)에는

                                            뚜렷하지 않은 글자모양이 새겨져 있다.

                                            라신동(羅新洞) 동회장(洞會長)과 귀덕2리 개발위원장(開發委員長)을 지낸

                                            박병인(朴炳仁)씨(67세)말을 빌면 자기가 보기에는 바위에 새겨진 글이

                                            개동××(開洞××)인 것 같다고 하였다. 굼둘애기물이 있는 풍체앞이란 말은

                                            본래는 부체앞이란 뜻이다. 표기가 잘못되어 부처앞이라고도 하고 이 물을

                                            부처물이라고 기록된 부분도 있다.


                                                                                 2019, 3, 22, 촬영,





                                                                                                 청정한 수풀바다 해녀상





                                                  <해녀노래>


                                 1971년 8월 26일 제주도지정무형문화재 1호로 지정

                                 '이여싸나'로 시작되는 해녀노래는 제주 해녀들이 먼 바다로 나갈 때

                                 목선을 타고 노를 저으면서 어기차게 불렀던 노래이다.


                                 '이여싸나 이여싸나 / 요 넬 젓고 어딜 가리 /

                                 진도나 바당 항구로 나게 / 요 네착을 심어사민 /

                                 어신 설움 절로나네 / 이여싸나 이여싸나 / 

                                 착 손엔 테왁 심엉 / 착 손엔 비창 심엉 / 

                                 질 두질 저승길에 / 저승건당 만리나 강산 /

                                 돈아 돈아 말모른 돈아 / 개도 쉐도 밥먹는 돈아 /

                                 창고망도 흙 르는 돈아 / 요 네가 돈이로구나'.


                                 해녀노래 예능보유자 안도인 할머니가 구성지게 들려주는 해녀노래의 일단이다.

                                 해녀노래는 돈을 벌기 위해 목선을 타고 난바르(험한 바다)를 건너갈 때 선주와

                                 해녀 3∼4명이 번갈아 노를 저으면서 불렀던 노래로, 해녀들은 노를 저으면서

                                 가슴에 켜켜이 맺힌 간장을 풀어냈다.




















                                                            청정한 수풀바다 해녀상


                                    해녀는 바닷속에 들어가서 해삼, 전복, 미역 따위를 따내는것을

                                    업으로 삼는 여자를 말한다, 해녀는 1629년 이 건 "제주풍토기"

                                    "규장집" 에서 잠녀라는 이름으로 처음 세상에 알려젔고 제주

                                    여인의 강인함과 근면성을 상징하고 있다, 점차 사라저가는

                                    제주해녀의 삶을 재조명하고 해녀들의 귀중한 공동체문화를

                                    전승 발전시키고자 한수풀해녀학교가 운영되는 귀덕2리 바닷가

                                    이곳에 해녀상을 세운다,


                                                                                2008, 6, 20,


                                                    한림읍 주민자치위원회 한수풀해녀학교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연교  (0) 2019.04.22
제주 행원리 풍경  (0) 2019.04.22
여미지식물원  (0) 2019.04.20
아침고요수목원의 봄  (0) 2019.04.17
정방폭포  (0) 2019.04.15